대기업의 37%가 현재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금리(2.5%)가 0.25%포인트 인상되면 이 비율은 50%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 1000대 기업 중 제조업을 영위하는 1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금사정 조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조사에 응답한 기업 중 37%는 현재 기준금리 수준에서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을 감당할 수 없는 ‘취약기업’으로 집계됐다. 또 응답 기업 중 13%는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기준금리 임계치를 현재 기준금리인 2.5%라고 답했다.
기준금리가 0.25%포인트만 올라도 대기업의 50%가 취약기업이 되는 셈이다. 취약기업이 3년 이상 지속되면 ‘한계기업’으로 규정된다.
이 밖에 기준금리가 2.75%, 3.0%로 오르는 경우 각각 9%, 27%의 기업이 기준금리 임계치에 도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경련은 한국은행이 오는 12일 예정된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올리는 이른바 ‘빅스텝’을 단행하는 경우 대기업의 59%가 유동성 압박에 노출된다고 우려했다.
문제는 한·미 금리 역전 등 대외 상황을 고려했을 때 추가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기업들도 연말까지 3.0%, 내년까지 3.4% 수준으로 기준금리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중 기준금리가 4.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한 기업도 10%에 달했다.
전경련은 고금리·고물가·고환율 등 이른바 ‘3고(高)’의 영향으로 상당수 기업의 자금 사정이 작년보다 악화되는 등 기업들의 체력이 이미 소진됐다고 강조했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 중 33.3%가 자금 조달 과정에서 신규 대출, 대출 만기 연장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집계되기도 했다. 환율 리스크 관리와 신용등급 관리가 어렵다고 답한 기업은 각각 22.3%, 11%로 나타났다.
이에 기업부담을 최소화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기업들은 안정적인 자금 관리를 위해 정부에 바라는 정책과제로 △환율 등 외환시장 변동성 최소화(24.7%) △경제주체의 금융방어력 고려한 금리 인상(20.7%) △공급망 관리 통한 소재‧부품 수급 안정화(16.3%) △정책금융 지원 확대(12.7%) 등을 꼽았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한계상황에 처한 기업들이 상당한 만큼 경제주체들의 금융방어력을 고려한 신중한 금리 인상이 요구된다”며 “이와 더불어 외환시장 안정조치, 정책금융 확대 등으로 금리 인상에 따른 기업부담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 1000대 기업 중 제조업을 영위하는 1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금사정 조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조사에 응답한 기업 중 37%는 현재 기준금리 수준에서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을 감당할 수 없는 ‘취약기업’으로 집계됐다. 또 응답 기업 중 13%는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기준금리 임계치를 현재 기준금리인 2.5%라고 답했다.
기준금리가 0.25%포인트만 올라도 대기업의 50%가 취약기업이 되는 셈이다. 취약기업이 3년 이상 지속되면 ‘한계기업’으로 규정된다.
문제는 한·미 금리 역전 등 대외 상황을 고려했을 때 추가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기업들도 연말까지 3.0%, 내년까지 3.4% 수준으로 기준금리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중 기준금리가 4.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한 기업도 10%에 달했다.
전경련은 고금리·고물가·고환율 등 이른바 ‘3고(高)’의 영향으로 상당수 기업의 자금 사정이 작년보다 악화되는 등 기업들의 체력이 이미 소진됐다고 강조했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 중 33.3%가 자금 조달 과정에서 신규 대출, 대출 만기 연장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집계되기도 했다. 환율 리스크 관리와 신용등급 관리가 어렵다고 답한 기업은 각각 22.3%, 11%로 나타났다.
이에 기업부담을 최소화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기업들은 안정적인 자금 관리를 위해 정부에 바라는 정책과제로 △환율 등 외환시장 변동성 최소화(24.7%) △경제주체의 금융방어력 고려한 금리 인상(20.7%) △공급망 관리 통한 소재‧부품 수급 안정화(16.3%) △정책금융 지원 확대(12.7%) 등을 꼽았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한계상황에 처한 기업들이 상당한 만큼 경제주체들의 금융방어력을 고려한 신중한 금리 인상이 요구된다”며 “이와 더불어 외환시장 안정조치, 정책금융 확대 등으로 금리 인상에 따른 기업부담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