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기준금리 인상... 은행들 호재·악재 상존

2022-05-05 10:30
  • 글자크기 설정

은행권 대출 70%가 변동금리... 단기에는 이자이익↑

장기에는 저원가성예금 이탈... 신규 대출감소 우려도

  

서울의 한 시중은행 창구[사진=연합뉴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한국은행으로 이어지는 국내외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시중은행에 단기적으로는 호재가 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단기로 보면 은행 전체 대출의 70%에 달하는 변동금리 대출을 기반으로 이자이익이 늘어나지만, 기준금리 인상이 저원가성 예금 이탈, 신규 대출 감소 등으로 이어져 장기적으로는 은행 실적에 악영향을 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5일 증권가 분석에 따르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은행채, 코픽스(COFIX, 은행 자본조달비용지수) 같은 단기 금리가 올라 은행의 이자이익이 늘어날 전망이다. 은행권 대출의 70%가 은행채와 코픽스 등과 연동되는 변동금리 대출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부터 한국은행이 총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네 차례 올리자, 국내 주요 은행들은 작년과 올해 1분기에도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국내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순이자마진(NIM)은 지난해 4분기 1.42~1.61%에서 1.49~1.66%로 올랐다. NIM은 금융회사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예대금리차로 인한 수익과 유가증권(채권 등)에서 발생한 이자 등을 반영한다. 

다만 금리인상 기조가 계속되면 장기적으로 은행 실적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예금, 채권 등의 금리가 올라 저원가성 예금이 이탈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저원가성 예금이란 일반 직장인 월급 통장 같은 요구불예금과 수시입출금식 저축성 예금(MMDA)을 말한다. 금리는 연 0.1~0.5% 수준으로 낮은 편이다. 은행 입장에서 저원가성 예금이 많다는 건 자금 조달 비용을 낮춰 이자마진을 높일 수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기준금리 인상으로 예·적금 금리가 오르면, 저원가성 예금이 인터넷전문은행에 이동할 가능성이 크다. 일례로, 토스뱅크가 연 2%대의 수시입출금식 예금상품을 출시하자, 6개월간 17조원의 자금이 몰렸다. 이는 은행 간의 예·적금 금리 경쟁으로 이어져 수신금리가 대출금리보다 더 빠른 속도로 올라 은행의 수익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금리가 오르면 기존 대출 고객들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지고, 부동산 투자 수요가 억제돼 신규 대출이 줄어들게 된다는 점도 은행에는 악재다. 차주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지면 은행의 건전성도 악화될 우려가 있다.

서영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맞춰 한국도 기준금리를 2% 수준으로 인상할 경우 잔액 대출 금리는 4% 수준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된다. 6개월~1년 만에 이자 부담이 40% 이상 증가하는 것”이라며 “정부 입장에서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채무자의 채무 불이행 증가, 금융 불안정, 부동산·내수 침체를 방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