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접근성을 보유했음에도 기업들이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해외 주요 기관의 디지털 경쟁력 비교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이 경제협력기구(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의 디지털 접근성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한경연에 따르면 한국은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이 발표한 디지털 경쟁력 순위에서 64개국 가운데 12위를 차지했다.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이 발표한 포용적 인터넷 지수에서는 120개국 중 11위에 올랐다.
포용적 인터넷 지수는 인터넷 접근 가능성·수용성, 사회경제적 관련성의 정도를 포괄적으로 측정한 지수다.
다만 이처럼 높은 수준의 디지털 접근성에도 기업의 디지털 활용 역량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에서는 한국이 비교적 하위권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에 따르면 유럽 19개국과 한국을 비교 분석한 결과 디지털 경제의 활용 역량을 보여주는 클라우드 컴퓨팅 사용 비중, 고객관계관리(CRM) 소프트웨어 사용 비중, 전자 상거래 매출 비중 등에서 국내기업은 평균 이하를 기록했다.
국내 대기업 가운데 클라우드 컴퓨팅 사용 비중은 46.5%로 조사대상 20개국 가운데 최하위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은 24.5%로 조사대상 20개국 가운데 19위를 기록했다.
디지털 경제 시대에 고객 관계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CRM 사용 비중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각각 51.2%와 17.3%로 모두 20개국 중 19위에 그쳤다.
전자 상거래 매출이 발생하는 기업 비중은 대기업 38.2%(17위), 중소기업 20.1%(11위)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이 대기업에 비해 뒤처지는 이유로 고령화와 디지털 양극화를 꼽았다. 중소기업 종사자 가운데 60세 이상의 비중이 대기업보다 크고 그 격차가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조경엽 한경연 경제연구실장은 “디지털 관련 교육과 훈련을 강화해 디지털 기술을 가진 인재를 유치해야 한다”며 “세대 간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고령층에 대한 디지털 적응도를 집중적으로 높여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해외 주요 기관의 디지털 경쟁력 비교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이 경제협력기구(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의 디지털 접근성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한경연에 따르면 한국은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이 발표한 디지털 경쟁력 순위에서 64개국 가운데 12위를 차지했다.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이 발표한 포용적 인터넷 지수에서는 120개국 중 11위에 올랐다.
포용적 인터넷 지수는 인터넷 접근 가능성·수용성, 사회경제적 관련성의 정도를 포괄적으로 측정한 지수다.
한경연에 따르면 유럽 19개국과 한국을 비교 분석한 결과 디지털 경제의 활용 역량을 보여주는 클라우드 컴퓨팅 사용 비중, 고객관계관리(CRM) 소프트웨어 사용 비중, 전자 상거래 매출 비중 등에서 국내기업은 평균 이하를 기록했다.
국내 대기업 가운데 클라우드 컴퓨팅 사용 비중은 46.5%로 조사대상 20개국 가운데 최하위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은 24.5%로 조사대상 20개국 가운데 19위를 기록했다.
디지털 경제 시대에 고객 관계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CRM 사용 비중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각각 51.2%와 17.3%로 모두 20개국 중 19위에 그쳤다.
전자 상거래 매출이 발생하는 기업 비중은 대기업 38.2%(17위), 중소기업 20.1%(11위)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이 대기업에 비해 뒤처지는 이유로 고령화와 디지털 양극화를 꼽았다. 중소기업 종사자 가운데 60세 이상의 비중이 대기업보다 크고 그 격차가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조경엽 한경연 경제연구실장은 “디지털 관련 교육과 훈련을 강화해 디지털 기술을 가진 인재를 유치해야 한다”며 “세대 간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고령층에 대한 디지털 적응도를 집중적으로 높여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