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방역 완화 조치에 대해 불가피한 선택이며, 그 과정에서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은 결국 한 번은 겪게 되었을 일이었다고 밝혔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2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정례브리핑에서 거리두기를 너무 일찍 완화해 피해 규모가 늘어난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결과론적 시각’이라며 “기존 방역 정책은 지속가능하지 않았고, 완화하게 되면 (폭증은) 결국 한번 겪게 되었을 일이었다”고 답변했다.
손 반장은 “방역 조치를 완화하지 않았어야 한다는 비판은 다시 말해 금년 초까지 유지해왔던 ‘사적모임 4인·다중이용시설 영업제한 9시’ 및 ‘확진·접촉자 14일 격리’를 유지했어야 된다는 의견”이라며 “이를 유지한다고 가정하더라도 결국 방역 조치를 완화하는 순간부터 이번과 같은 전면적인 유행을 한 번은 겪게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4인·밤 9시와 광범위한 격리 유지는 효과성 측면을 차지하더라도 지속 가능성을 고려할 때 불가능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오미크론 변이가 델타 변이에 비해 약 2~3배 전파력이 더 강한 특성이 있기 때문에 기존의 확진자 억제 정책 수단들의 효과가 미흡해지고 있다는 점을 함께 고려해야 된다는 게 정부의 입장이다.
손 반장은 “현재까지 확진자 규모는 계속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중증화율과 치명률, 의료체계의 대응력 등에서는 관리 방안 범위 내에서 통제되고 있다”면서 “(유행) 정점을 지나서 그 이후까지도 적절하게 관리될 수 있다면 오미크론 유행 이후 좀 더 일상에 가까운 체계로 전환될 것”이라고 말했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2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정례브리핑에서 거리두기를 너무 일찍 완화해 피해 규모가 늘어난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결과론적 시각’이라며 “기존 방역 정책은 지속가능하지 않았고, 완화하게 되면 (폭증은) 결국 한번 겪게 되었을 일이었다”고 답변했다.
그러면서 “4인·밤 9시와 광범위한 격리 유지는 효과성 측면을 차지하더라도 지속 가능성을 고려할 때 불가능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오미크론 변이가 델타 변이에 비해 약 2~3배 전파력이 더 강한 특성이 있기 때문에 기존의 확진자 억제 정책 수단들의 효과가 미흡해지고 있다는 점을 함께 고려해야 된다는 게 정부의 입장이다.
손 반장은 “현재까지 확진자 규모는 계속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중증화율과 치명률, 의료체계의 대응력 등에서는 관리 방안 범위 내에서 통제되고 있다”면서 “(유행) 정점을 지나서 그 이후까지도 적절하게 관리될 수 있다면 오미크론 유행 이후 좀 더 일상에 가까운 체계로 전환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