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16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합의에 근접했지만 아직 도달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남은 이견도 해소될 것이라고 본다"며 "협상이 매우 예민한 단계"라고 덧붙였다.
이란 핵 합의는 지난 2015년 이란이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중국)과 독일 등 6개국과 맺은 것으로, 이란이 우라늄 농축 등 핵 활동을 동결 또는 축소하는 대신 서방은 대(對)이란 제재를 해제하는 내용이 골자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2018년 일방 탈퇴한 뒤 이란에 제재를 다시 부과했고 이란은 이에 맞서 핵 활동을 점진적으로 진전시켰다. 미국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작년 4월부터 오스트리아 빈에서 이란 핵합의 복원 협상을 진행해왔다.
이란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처럼 미국 새 행정부가 이란 핵합의에서 다시 탈퇴할 가능성을 우려한다. 이러한 사태를 막고자 미국 정부가 또다시 일방적으로 핵합의를 번복했을 때 입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 '경제적 보장'을 요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아울러 이란은 이슬람 혁명수비대가 미국의 외국 테러조직(FTO) 명단에서 삭제될 것을 요구하고 있다. FTO로 지정된 단체와 거래하는 기업이나 개인은 미국에서 처벌을 받기 때문에, FTO로 계속 지정돼 있는 한 이란 핵합의가 복원되더라도 운신의 폭이 넓어지지 않아서다.
이와 관련 미국 정부는 혁명수비대가 중동 내 친이란 무장조직의 '테러 행위'를 지원하고 때로는 지휘한다고 의심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한 후 러시아가 새로운 요구를 하면서 핵 협상은 교착 상태에 빠진 듯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서방 제재 때문에 핵합의가 복원돼도 이란과 거래할 수 없다며 대러시아 제재에서 예외로 인정해야 한다고 요구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미국 정부에서 서면 보장을 받았다며 기존 입장에서 물러서는 모습을 보이며 다시 핵 협상이 급물살을 타는 모습이다.
이 외에도 지난 2016년 이란 혁명수비대에 체포됐던 이란·영국 이중 국적 보유자인 자가리-랫클리프가 6년만에 영국으로 돌아오는 등 긍정적 신호들이 나타나고 있다.
미국 국무부의 협상 대표인 롭 말리 이란특사는 협상이 열리는 유럽으로 건너가지 않고 아직 미국 워싱턴DC에 머물고 있다.
다만 20일 시작되는 약 2주간의 이란 최대의 새해 명절 '노루즈' 때문에 합의와 공식 발표가 지연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