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물가가 치솟는데다 코로나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으면서 소비성향은 최저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64만2000원으로 전년동기대비 6.4% 증가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단계적으로 완화되고 경기가 살아나면서 근로소득(5.6%)과 사업소득(8.6%)이 전분기보다 늘었다. 정부지원금으로 대표되는 공적이전소득(10.7%)도 소득 증가세를 견인했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지난해 3분기 가계 소득이 재난지원금 등 이전소득 변이에 따라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한 데 이어 4분기도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역대 두번째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며 "서비스업황이 개선되면서 사업소득이 증가한 영향"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4분기 가계지출(340만6000원)도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재난지원금 지급 등의 영향으로 전년동기대비 5.5% 증가했다.
특히 2020년 코로나19 영향으로 크게 꺾였던 소비지출이 대면 서비스업 회복의 영향을 받아 전년대비 5.8% 증가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면서 여행·외식 수요가 늘어나 음식·숙박(17.0%), 오락‧문화(11.0%) 항목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보복소비로 인한 의류·신발 지출도 전년동기대비 12.2% 늘었다.
반면, 차량용 반도체 수급차질의 문제로 신차 구입이 늦어지면서 자동차구입을 포함한 교통(-3.2%) 지출은 감소했다.
비소비지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8% 증가했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증가하면서 이와 연동한 경상조세가 18.8% 늘어난 영향이다. 12월 종합부동산세 납부도 일부 반영됐다.
다만, 물가 상승을 고려한 실질소득은 2.8% 증가하는 데 그쳤다. 작년 하반기로 갈수록 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실질소득 증가율은 3분기 5.3%에서 4분기 2.8%로 둔화하는 흐름을 보였다.
이에 따라 평균소비성향(67.3%)도 통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평균소비성향은 세금·연금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처분가능소득에서 상품·서비스 소비에 얼마를 썼는지를 나타낸 지표인데, 코로나19가 확산되기 시작한 2020년 1분기 처음으로 60%대로 떨어진 이후 좀처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이 과장은 "소비지출이 늘지 않은 것은 아니"라면서 "가처분소득 증가율이 소비지출 증가분보다 높아 평균소비성향이 낮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