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거래소가 미세먼지 저감조치를 이유로 일부 화력 발전소 가동을 중지하자 예비전력이 반토막 수준으로 곤두박질쳤다. 업계에서는 환경을 위한 ‘탈석탄’, ‘신재생 전환’ 정책도 좋지만 현실적인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전력거래소는 2월 넷째 주 예비전력은 1만827~1만4473MW, 예비율은 12.5~17.4%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14일 예비전력(2만3848MW) 절반 수준이다. 올해 들어 예비율이 10% 대로 접어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올해 초부터 예비전력은 통상 20~30% 대를 유지했으며 설 연휴에는 한때 60%를 넘어서기도 했다.
2월 말 예비전력 급락세는 미세먼지 저감조치로 일부 화력 발전 설비가 가동 중단됐기 때문이다. 한국전력거래소는 미세먼지 저감 조치를 위해 가동을 중단할 석탄 발전기를 지정해 각 발전사에 통보했다.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1월에는 한파 등 이유로 전기 수요가 높았지만 가동 발전기가 많았으니 예비력이 높았다”며 “미세먼지 저감 대책으로 하동·삼천포·태안·보령 등 총 10기 가동을 멈추고 전력 생산을 4400MW 줄였다”고 설명했다.
현재 예비전력은 비상 단계 준비 기준(5500MW)을 웃도는 수준으로 돌발사태 우려는 적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미세먼지 저감 조치로 발전 설비 가동을 중지하는 것이 오히려 역효과를 부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 발전사 관계자는 “발전 설비는 컴퓨터를 부팅하는 것과 다르게 몇 시간씩 걸리는데 이 과정이 비효율적이다”라며 “발전 설비를 가동할 때보다 정지하는 동안 미세먼지 배출을 감소시켜주는 장치도 멈추기 때문에 미세먼지가 더 나오는 경우가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발전사 관계자는 “발전 설비 정지가 잦아지면 추후 가동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진다”며 “유해물질저감설비 성능이 떨어지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비판했다.
전문가들은 미세먼지 저감 조치로 화력 발전기 가동을 중지하는 정책의 실효성을 꼬집었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는 “미세먼지 저감은 지금까지 큰 성과가 없었다”라며 “국내 미세먼지 발생량 중에서도 자동차나 농경지 등에서 나오는 부분이 상당한데 모든 책임을 화력 발전소에만 전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 교수는 “가동을 중지하는 화력 발전소도 서울과 거리가 멀기 때문에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수도권 상황이 좋아질 가능성은 낮다”며 “석탄 화력을 줄여서 미세먼지를 잡겠다는 이야기는 전시 행정이고 실효적인 감축을 기대하긴 어렵다”고 주장했다.
일각에서는 미세먼지 감축을 위해 화력 발전을 줄이고 신재생 에너지 사용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다만, 화력 발전이 아직 높은 생산량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대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전제가 따른다.
윤진한 한국기계연구원 환경시스템연구본부 연구원은 “노후된 장비도 미세먼지를 막기 위한 약품이나 조건을 맞추는 것에 따라 효율이 달라진다”며 “야외 석탄 저장고에서 나오는 미세먼지는 제어할 방법은 아직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신재생에너지가 가장 좋지만 변동성이 크다”라며 “탈석탄, 탈원자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대안이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임원혁 KDI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화력 발전을 멈추는 것이 좋은 정책일 수도 있다”면서도 “신재생 에너지 비율을 급작스럽게 높여도 결국 전력 확보를 위해서는 화력·원자력 발전소 가동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22일 전력거래소는 2월 넷째 주 예비전력은 1만827~1만4473MW, 예비율은 12.5~17.4%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14일 예비전력(2만3848MW) 절반 수준이다. 올해 들어 예비율이 10% 대로 접어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올해 초부터 예비전력은 통상 20~30% 대를 유지했으며 설 연휴에는 한때 60%를 넘어서기도 했다.
2월 말 예비전력 급락세는 미세먼지 저감조치로 일부 화력 발전 설비가 가동 중단됐기 때문이다. 한국전력거래소는 미세먼지 저감 조치를 위해 가동을 중단할 석탄 발전기를 지정해 각 발전사에 통보했다.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1월에는 한파 등 이유로 전기 수요가 높았지만 가동 발전기가 많았으니 예비력이 높았다”며 “미세먼지 저감 대책으로 하동·삼천포·태안·보령 등 총 10기 가동을 멈추고 전력 생산을 4400MW 줄였다”고 설명했다.
현재 예비전력은 비상 단계 준비 기준(5500MW)을 웃도는 수준으로 돌발사태 우려는 적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미세먼지 저감 조치로 발전 설비 가동을 중지하는 것이 오히려 역효과를 부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 발전사 관계자는 “발전 설비는 컴퓨터를 부팅하는 것과 다르게 몇 시간씩 걸리는데 이 과정이 비효율적이다”라며 “발전 설비를 가동할 때보다 정지하는 동안 미세먼지 배출을 감소시켜주는 장치도 멈추기 때문에 미세먼지가 더 나오는 경우가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발전사 관계자는 “발전 설비 정지가 잦아지면 추후 가동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진다”며 “유해물질저감설비 성능이 떨어지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비판했다.
전문가들은 미세먼지 저감 조치로 화력 발전기 가동을 중지하는 정책의 실효성을 꼬집었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는 “미세먼지 저감은 지금까지 큰 성과가 없었다”라며 “국내 미세먼지 발생량 중에서도 자동차나 농경지 등에서 나오는 부분이 상당한데 모든 책임을 화력 발전소에만 전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 교수는 “가동을 중지하는 화력 발전소도 서울과 거리가 멀기 때문에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수도권 상황이 좋아질 가능성은 낮다”며 “석탄 화력을 줄여서 미세먼지를 잡겠다는 이야기는 전시 행정이고 실효적인 감축을 기대하긴 어렵다”고 주장했다.
일각에서는 미세먼지 감축을 위해 화력 발전을 줄이고 신재생 에너지 사용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다만, 화력 발전이 아직 높은 생산량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대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전제가 따른다.
윤진한 한국기계연구원 환경시스템연구본부 연구원은 “노후된 장비도 미세먼지를 막기 위한 약품이나 조건을 맞추는 것에 따라 효율이 달라진다”며 “야외 석탄 저장고에서 나오는 미세먼지는 제어할 방법은 아직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신재생에너지가 가장 좋지만 변동성이 크다”라며 “탈석탄, 탈원자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대안이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임원혁 KDI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화력 발전을 멈추는 것이 좋은 정책일 수도 있다”면서도 “신재생 에너지 비율을 급작스럽게 높여도 결국 전력 확보를 위해서는 화력·원자력 발전소 가동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