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권익위원회가 지난 7일 '국민 일상을 바꾼 제도개선 10선'을 발표했다. 최우수 사례는 '주택 중개수수료 및 서비스 개선'이었다. 권익위는 국민생각함에서 국민 투표로 얻은 결과라는 점을 강조했다.
실제 문재인 정부에서 남녀노소를 아우른 화두는 단연 '부동산'이다. 풍선효과로 대부분 지역의 집값이 올랐지만, 격차는 더 커진 탓에 내 집 마련이나 이사는 쉽게 엄두가 안 난다.
그래서였을까, 최우수 사례로 중개수수료 개선이 뽑힌 게 이상하지 않았다. 오히려 너무 당연하게 여겨졌다. 권익위가 득표수 공개를 꺼리기 전까지는 말이다.
당시 권익위는 중개수수료 개선에 이어 '아동급식 사각지대 개선', '성범죄 경력 관련 행정정보 공동이용 확대' 등 순으로 국민 공감대가 컸다고 밝혔다. 투표에는 국민 1795명이 참여했다고도 했다. 하지만 사례별 득표수는 알려줄 수 없다고 잘랐다.
국민 1795명 외에 권익위 직원도 일부 참여해 순위를 매기는 데 영향을 줬고, 이는 실제 득표수와 5~10표가량 차이 날 수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순수하게 국민 투표만으로 순위를 매긴 게 아니라고 시인한 셈이다.
국민생각함을 들여다보니 득표수 기준 제도개선 최우수 사례는 '아동급식 사각지대 개선'(485명·9%)이었다. 그 뒤를 '성범죄 경력 관련 행정정보 공동이용 확대'(482명·8.95%)가 따랐다. 권익위가 1순위라고 밝힌 '주택 중개보수 및 중개서비스 개선'은 475명(8.82%)이 지지해 3위였다. 해당 투표는 3개 항목 중복선택이 가능했다.
현 정부에서 부동산 문제는 '아픈 손가락'이다. 물만 마셔도 살이 찐다는, 시쳇말로 웃픈(웃기면서 슬픈) 얘기가 있듯이 부동산 시장은 살짝만 건드려도 시한폭탄처럼 움직였다. 언론은 물론이고 국민 시선이 늘 집중돼 있다.
권익위도 이런 분위기를, 부동산 관련 키워드를 전면에 내세우면 국민 관심이 배가 되는 것을 모를 리 없다. 어쩌면 정부가 부동산 관련해서 올리기만 한 게 아니라 '낮춘 것'도 있다는 걸 강조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목적이나 의도가 어찌 됐든 난데없이 투표 결과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세부 내용을 떳떳하게 공개하지 못한 것은 정부 입맛에 맞춰 국민을 기만한 행위는 아닌지 생각해 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