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중국 외교부는 이날 성명을 내고 "리투아니아가 중국의 반복된 항의에도 불구하고 대만 당국의 '주 리투아니아 대만 대표처' 설치를 허가해, 수교 당시의 정치적 약속을 져버렸다"며 “이는 중국의 주권과 영토보전을 해치고 내정을 간섭한 행위”라고 비난했다.
이어 "리투아니아 정부는 양자관계를 외면한 채 대만 명의로 대표처를 설치해 국제적으로 나쁜 선례를 만들었다"며 "대사급 외교 관계를 맺어온 정치적 기반이 무너진 만큼 주권과 국제관계 기본준칙을 지키기 위해 양국 외교관 계를 대표부 급으로 격하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국가 간 외교 관계 수립은 ‘연락사무소-대표부-대사관’ 급으로 높아진다. 중국이 양국 관계를 대표부 급으로 낮춘 것은 외교 관계 단절로 가는 전 단계 중 하나로 리투아니아에 강력한 경고를 전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리투아니아에 대만 대표처가 정식 개관한 것은 지난 18일 대만 외교부를 통해 알려졌다. 대만 외교부는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에 '대만 대표처'가 공식 개관해 업무에 들어갔다고 알렸다.
유럽 국가 가운데 외교적 관례에 따른 '타이베이'(Taipei)가 아닌 국호인 '대만'(Taiwan)을 사용한 외교공관이 개설된 것은 리투아니아가 처음이다. 중국의 수교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에 따라 사실상 대만의 외교공관임에도 ‘대만’ 대신 수도인 ‘타이베이’를 앞세워 ‘타이베이 대표부’, ‘타이베이 경제·문화 대표처’ 등으로 표기하고 있다.
그런데 지난해 10월 출범한 리투아니아 현 정부는 자유민주주의를 강조하면서 대만과의 관계를 한층 강화하고 있다. 사실 이번 대만 대표처 개설 허용도 이미 지난 7월 발표된 바 있는데, 이 때부터 중국은 리투아니아 주재 자국 대사를 소환하는 한편 베이징에 있는 리투아니아 대사를 추방하는 등 외교적 압박을 가해왔다. 리투아니아로 향하는 직통 화물열차 노선의 운영을 중단시키는 등 보복조처도 단행했다.
중국은 1981년 네덜란드가 대만에 잠수함을 판매하자 네덜란드와의 외교 관계를 대사급에서 대표처급으로 격하시킨 적이 있다. 양국 관계는 1984년에야 대사급으로 회복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