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성공을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1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 1차 회의에서 "우리나라는 세계박람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할 수 있는 충분한 자격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다만 "대한민국이 국제사회에서 선진국으로 인정받고 있다"며 "교역량 세계 8위로 올해는 사상 최단기간에 무역 1조달러를 달성했고, (과거) 서울올림픽, 2002 월드컵, 평창동계올림픽 등 국제행사를 성공적으로 치렀다"고 강조했다.
영화, 드라마,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류 바람이 불고 있는 것도 강점으로 꼽았다. 이어 "부산은 세계 2위의 허브 항만이자 아시아 최대 부산국제영화제가 열리는 등 산업·문화 모두 국제도시로 손색없다"고 전했다.
세계박람회는 올림픽, 월드컵과 더불어 3대 국제행사 중 하나다. 이번에 박람회를 유치하면 한국은 세계 12번째 등록엑스포 개최국이 된다. 또 7번째로 3대 국제행사를 모두 개최하게 된다.
정부는 부산세계박람회를 오는 2030년 5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부산 북항 일대(344만㎡)에서 개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43조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18조원의 부가가치 창출, 50만명 이상의 일자리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위원회는 이날 회의에서 유치 상황을 점검하고, 유치 성공을 위해 정부 차원의 역량이 총결집돼야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또 다음 달부터 총 4차례 진행될 예정인 경쟁 프레젠테이션(PT)을 비롯해 내년 5월 공식 유치계획서 제출, 내년 9월(잠정) 현지실사 등 주요 유치활동에 대한 준비상황을 계획을 논의했다.
범정부적 지지 서한 발송, BIE 개발도상국 회원국 지지 확보를 위한 지원 강화 등과 함께 △정부 고위급 인사의 지원활동 △유치역량 강화 △개최부지 및 박람회장 조성을 위한 정부 역할도 검토했다.
아울러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이탈리아, 우크라이나 등 경쟁국 동향과 지지 교섭에 따른 각국 반응을 공유하고, 재외공관을 중심으로 한 유치교섭 지원체계 구축과 유치 교섭활동 계획을 논의했다.
정부 관계자는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해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