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북핵수석대표가 약 일주일 간격으로 회동을 했지만, 서로의 입장 차이를 좁히지는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우리 정부의 강력한 종전선언 의지와 달리 미국은 숨을 고르는 모양새다.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는 24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노규덕 외교부 한반도교섭본부장과 북핵수석대표 협의 이후 도어스테핑에서 "노 본부장과 종전선언을 포함해 다양한 아이디어와 이니셔티브를 모색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다소 두루뭉술하지만, 긍정적인 취지다.
정부는 지난 18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회동 이후 한·미 간 종전선언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강조해왔다.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기 위해 종전선언을 앞세워 구체적인 문구 조정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날 김 대표 발언에서 추가 진전된 내용은 찾을 수 없었다. 또 노 본부장은 "대북 대화 재개 시 북측 관심사를 포함한 모든 사안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혔지만, 김 대표는 최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인도주의적 문제에 우려와 관심을 표하며 '실질적인 대북 외교'를 강조했다. 이날 협의의 후속 조치 이행상황을 살펴 가까운 시일 내에 추가 협의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박 교수는 "한·미 양국이 물밑에서 문구 조정 등 작업을 하고 있을 수 있다"면서도 "이는 결국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는 것을 의미하는데, 내부적으로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 정책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우세한 상황에서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