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과 현대의 경계에서 아슬아슬하게 유영하는 춤의 원형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번 작업의 목표입니다.”
정구호 연출의 말처럼 전통과 현대의 구분은 잠시 잊고 춤 그 자체에 집중하게 됐다. 국립극장 전속단체 국립무용단의 신작 ‘산조(散調)’가 오는 9월 재개관을 앞둔 해오름극장을 꽉 채웠다.
국립무용단 ‘산조’가 오는 24일부터 26일까지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공연된다.
산조는 서양의 재즈에 비견된다. 정통과 즉흥이 교차하는 특징 때문이다. 21명의 출연진은 산조에 맞춰 자유롭고, 감각적인 안무를 선보이며 춤의 아름다움을 전했다.
작품은 총 3막 9장으로 구성된다. 1막 ‘중용’(中庸)은 비움의 미학과 절제미를 주제로 비균형적 평온을 유지하는 한국적인 움직임을 담는다.
1장부터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무대 위 지름 6m의 대형 바위를 옆에 둔 상황에서 여성 무용수가 보여주는 정제된 움직임은 말로는 설명할 수 없는 균형미를 느끼게 한다.
2013년부터 국립무용단과 여러 차례 호흡을 맞춘 정구호가 ‘산조’의 연출과 무대·의상·영상디자인을 맡았다. 디자이너 정구호는 흑백의 조화와 세련된 디자인이 돋보이는 의상을 통해 춤의 아름다움을 더욱 크게 만들었다.
정 연출은 “한국무용은 반짝이는 원석이기에 보여주는 방식만 조금 달리해도 우리 전통은 극도로 현대화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전통 산조를 다양한 방식으로 재해석한 음악적 시도도 매우 신선했다. 직접 춤을 추며 음악을 만드는 안무가이자 음악가 김재덕과 한국인 최초로 그래미상을 2회 수상한 황병준이 음악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1막은 황병준 프로듀서가 이선화(거문고), 김동원(장고)과 함께 거문고 산조를 녹음해 정통 산조의 매력을 들려준다. 2막과 3막은 작곡가 김재덕이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산조를 전자(일렉트로닉) 선율에 담았다.
안 어울릴 것 같은 전통춤의 움직임이 전자(일렉트로닉) 음악과 멋진 조화를 이뤘다.
재개관을 통해 마련된 새로운 음향 시스템은 마치 영화관이나 클럽에 와 있는 것 같은 기분을 들게 했다.
황병준 프로듀서와 국립극장 책임음향 감독 지영은 “해오름극장에 새롭게 갖춘 첨단 음향 시스템을 활용한 사운드 디자인으로 관객이 한층 높은 청각적 몰입을 느끼게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원형 엘이디(LED) 패널이 장단의 변화에 따라 감각적으로 변하며 산조의 미학을 표현했다.
아름다운 무대는 여백의 미를 살린 산수화를 여럿 감상한 것 같은 느낌을 관객에게 선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