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청약 경쟁률이 100대 1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첨 가점도 4년 전보다 큰 폭으로 올랐다.
11일 부동산114와 직방이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최근 1년간 서울 아파트 1순위 평균 청약 경쟁률은 94.1대 1로 조사됐다. 2017년 5월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한 직후 1년간 경쟁률이 15.1대 1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6배가 넘게 오른 것이다.
분양가 상한제 시행으로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분양가에 공급되면서 시세차익 기대감이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건설사는 분양가 상한제로 공급을 미루고 있는 데다가, 정부는 민간재건축 등 정비사업에 보수적인 입장을 보여왔기 때문에 수요자들이 서울 공급물량 축소를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임병철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올해도 임대주택 등을 빼면 서울에 분양하는 아파트는 손에 꼽는다"며 "분양가 상한제로 인해 건설사들이 공급을 미루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건설사는 정책 변화를 기다리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수요는 크게 증가했는데 공급이 따라주지 않기 때문에 청약 경쟁률이 상승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올해 서울 아파트는 분양은 적었다. 올해 초부터 지금까지 분양한 아파트는 △자양 하늘채 베르(일반공급 28가구, 평균 경쟁률 367대1) △고덕강일 제일풍경채(491가구, 150.24대1) △관악 중앙하이츠 포레(18가구, 217.9대1) 쌍문역 시티프라디움(69가구, 51.31대1) 등 4곳이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위원은 "올해 1~3월 분양이 상당이 적었다"며 "5월부터는 분양 늘어날 것으로 보이지만 하반기 강동구 둔촌주공 재건축(올림픽파크 에비뉴 포레·1만2032가구)등이 미뤄진다는 소식이 있어 지켜봐야겠다"고 말했다.
서진형 경인여자대학교 교수도 "지금은 전 국민의 50%가 청약통장 가입자로 수요가 많다"며 "그런데 정부정책 등에 따라 서울에 아파트 공급이 안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서 교수는 "이미 분양된 서울 아파트들이 가격은 오른 상황에서 분양가상한제가 실시돼, 매수 심리도 같이 오르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아파트 가격 상승 폭 확대로 내 집 마련의 진입장벽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주택매수심리도 함께 높아졌다는 것이다.
그는 "청약 과열을 진정시키기 위해선 분양가 규제를 완화하거나 채권입찰제등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채권입찰제는 아파트 분양가가 주변 시세보다 낮아 시세 차익이 클 것으로 예상될 때 청약자에게 제2종 국민주택채권을 사게 해 시세 차익 일부를 환수하는 제도다.
한편 서울제외 수도권의 경쟁률도 크게 올랐다. 문 대통령 임기 1년 차에 경기는 6.1대 1, 인천은 6.5대 1을 기록했다가 각각 27.3대 1, 22.8대 1에 이르렀다. 또한 5대 지방 광역시(부산·울산·대구·대전·광주) 중에서는 부산의 청약 경쟁률 상승이 두드러졌다. 부산은 문 대통령의 임기 3년 차에 13.2대 1 수준이었으나 4년 차에 69.2대 1로 5배 넘게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