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늑장 대처에 나섰지만 한·미 백신 스와프의 물꼬가 트인 만큼, 통상적인 백신 스와프 이외에 '미국 백신 제공·한국 백신 생산'부터 '한국 반도체 공급 및 대미 투자 증액' 등 최적의 한국형 백신 스와프 모델 찾기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20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긴급현안질의에 출석해 '외교부에서 백신 스와프를 검토한 적이 있느냐'는 박진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상당히 진지하게 협의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정 장관은 "한·미 정상회담 개최 전까지 좀 더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진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본지와의 통화에서 "지난해 12월 구상을 제시한 때부터 이날까지도 정부가 이와 관련해 조언을 구한 적이 단 한 번도 없다"며 "야당은 '백신에는 여야가 없다'는 입장으로 초당적인 협력을 약속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박 의원은 대만이 독일에 '반도체 생산능력을 높여줄 테니 코로나19 백신을 구매해달라'고 제안한 사례를 예로 들며 "(정부가) 반도체 관련 대미 투자를 확대하고, 미국으로부터 백신 스와프를 받는 방안도 얼마든지 검토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이 현재 한국으로부터 가장 원하는 게 반도체의 대미 투자"라면서 "이 같은 방법도 넓은 범위의 스와프에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박 의원은 미국이 한국에 선(先) 제공한 백신을 추후에 국내에서 생산해 되갚거나, 현금이나 반도체 등 다른 전략물자로 대가를 지불하는 방식도 제안했다.
다만 정부는 이와 관련해 아직 알려줄 내용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외교부는 "관계부처들과의 협의를 통해 미국 측과 백신 협력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면서도 "현재 단계에서 구체적 내용을 소개해줄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역시 "국민에게 알려드릴 성과가 나오지는 않았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