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조직 확대를 통해 부동산 공급 드라이브를 본격화한다. '오세훈 서울시장 표' 부동산 정책이 시동을 거는 모습이다.
18일 서울시에 따르면 오 시장은 행정2부시장 산하 주택건축본부 조직 인력을 확충하기로 했다. 현재 주택건축본부는 주택정책과 등 7개 과와 1개 센터를 두고 있는데, 여기에 부동산 관련 다른 실·국에서 일부 담당하는 주택 관련 업무를 재배정함으로써 인력도 늘린다는 계획이다.
부동산 공급 관련 업무는 행정2부시장 산하에 있다. 업무를 총괄하는 주택건축본부를 비롯해 도시재생실의 도시활성화과와 도시계획국 도시관리과 등이 개별적인 프로젝트를 맡아 진행 중이다.
시는 추후 서울시의회와 협의를 거쳐 주택건축본부 조직 편제를 확대 개편하는 방안도 검토한다고 알려졌다. 서울 주택 공급과 관련한 업무 대부분을 주택건축본부가 담당하게 함으로써 효율성을 끌어 올리고, 오 시장이 공약한 '스피드 주택공급' 추진도 가시화하겠다는 것이 시의 계획이다.
오 시장의 의도는 행정2부시장에 류훈 도시재생실장을 내정한 데서도 잘 드러난다. 류 내정자는 그동안 주택공급과장, 주택공급정책관, 도시계획국장, 주거사업기획관, 주택건축본부장 등을 거친 주택 전문가이기 때문이다.
서울시 도시계획·건설을 총괄하는 행정2부시장은 고(故) 박원순 전 시장 시절 기반시설 또는 안전 분야 출신이 맡는 경우가 많았는데 오 시장 체제에서는 류 실장 내정으로 주택 공급에 방점을 찍었다.
박 전 시장 재임 시기 힘이 실렸던 도시재생실은 기능과 역할 축소, 위상 하락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편, 오 시장이 당선된 지 일주일 만에 진정되던 서울 아파트값이 다시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들썩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맷값은 4월 첫째 주 0.05%에서 둘째 주 0.07%로 상승 폭이 커졌다.
서울 아파트값은 2월 첫째 주(0.10%) 이후 꾸준히 상승 폭이 축소되며 4월 첫째 주 0.05%까지 낮아졌는데, 서울시장 보궐선거 이후인 둘째 주 조사에서 10주 만에 다시 상승 폭을 키운 것이다. 가격 상승은 재건축 단지가 있는 지역이 견인했다. 부동산 규제 완화를 공약한 오세훈 시장이 취임하자 재건축 규제가 확 풀릴 것이라는 기대감에 강남, 목동, 여의도 등의 재건축 아파트값이 최고 2억∼3억원씩 오르고 집주인이 매물을 들이는 등 과열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18일 서울시에 따르면 오 시장은 행정2부시장 산하 주택건축본부 조직 인력을 확충하기로 했다. 현재 주택건축본부는 주택정책과 등 7개 과와 1개 센터를 두고 있는데, 여기에 부동산 관련 다른 실·국에서 일부 담당하는 주택 관련 업무를 재배정함으로써 인력도 늘린다는 계획이다.
부동산 공급 관련 업무는 행정2부시장 산하에 있다. 업무를 총괄하는 주택건축본부를 비롯해 도시재생실의 도시활성화과와 도시계획국 도시관리과 등이 개별적인 프로젝트를 맡아 진행 중이다.
시는 추후 서울시의회와 협의를 거쳐 주택건축본부 조직 편제를 확대 개편하는 방안도 검토한다고 알려졌다. 서울 주택 공급과 관련한 업무 대부분을 주택건축본부가 담당하게 함으로써 효율성을 끌어 올리고, 오 시장이 공약한 '스피드 주택공급' 추진도 가시화하겠다는 것이 시의 계획이다.
서울시 도시계획·건설을 총괄하는 행정2부시장은 고(故) 박원순 전 시장 시절 기반시설 또는 안전 분야 출신이 맡는 경우가 많았는데 오 시장 체제에서는 류 실장 내정으로 주택 공급에 방점을 찍었다.
박 전 시장 재임 시기 힘이 실렸던 도시재생실은 기능과 역할 축소, 위상 하락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편, 오 시장이 당선된 지 일주일 만에 진정되던 서울 아파트값이 다시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들썩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맷값은 4월 첫째 주 0.05%에서 둘째 주 0.07%로 상승 폭이 커졌다.
서울 아파트값은 2월 첫째 주(0.10%) 이후 꾸준히 상승 폭이 축소되며 4월 첫째 주 0.05%까지 낮아졌는데, 서울시장 보궐선거 이후인 둘째 주 조사에서 10주 만에 다시 상승 폭을 키운 것이다. 가격 상승은 재건축 단지가 있는 지역이 견인했다. 부동산 규제 완화를 공약한 오세훈 시장이 취임하자 재건축 규제가 확 풀릴 것이라는 기대감에 강남, 목동, 여의도 등의 재건축 아파트값이 최고 2억∼3억원씩 오르고 집주인이 매물을 들이는 등 과열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