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백악관 안보 및 경제 참모 주재로 열린 반도체 대책 화상 회의에 참석해 반도체 웨이퍼를 직접 들어 보이며 "내가 여기 가진 칩, 이 웨이퍼, 배터리, 광대역, 이 모든 것은 (미국의) 인프라"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우리는 어제의 인프라를 수리하는 것이 아니라 오늘의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우리는 다시 세계를 주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과의 반도체 패권 경쟁을 분명히 했다. 그는 "중국과 세계의 다른 나라는 기다리지 않고 미국이 기다려야 할 이유도 없다"면서 "중국과 다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우리도 반도체, 배터리 같은 분야에서 공격적으로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오는 2050년 무렵까지 세계 최강국으로 올라서는 장기 목표를 달성하려면 전력을 다해 기술 자립을 위한 '혁신 엔진'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사실상 현존 세계 최강국인 미국을 넘어서는 첨단산업을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셈이다.
시 주석은 이 자리에서 가장 먼저 꼽은 첨단산업이 바로 반도체다. 그는 반도체를 비롯해 바이오, 인공지능 등 분야를 세계적인 수준의 산업으로 만들자고 촉구했다. 실제로 중국은 2019년 기준 15.7%에 불과했던 반도체 자급률을 오는 2025년까지 7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 아래 대대적인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반도체 산업의 종주국이며 수많은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과는 달리 기술력이 부족한 중국이 이같은 목표를 달성하려면 삼성을 비롯한 외국 선진기업들의 기술지원과 투자가 필수적이다.
때문에 메모리반도체 분야 세계 점유율 1위이자 파운드리(위탁생산) 업계 2위인 삼성전자의 고심도 깊다. 전날 미국 백악관 회의에 최시영 삼성전자 사장이 참석했지만, 구체적인 발언은 공개하지 않는 것도 이런 배경으로 풀이된다. 그만큼 고심이 깊다는 뜻이다.
이런 가운데 우리 정부도 본격적으로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백악관 반도체 화상회의를 기점으로 한국 등 우방국들에게 중국을 뺀 미국 중심의 '반도체 공급망 동맹'에 참여하라고 압박 수위를 높일 예정이다. 하지만 반도체의 경우 대 중국 수출 의존율이 60%에 달하는 우리나라로선 명확한 답을 내리기 힘들다.
이에 오는 15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리는 확대경제장관회의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 자리에는 이정배 삼성전자 사장과 이석희 SK하이닉스 사장 등이 초청됐고, 정부는 다각도로 반도체 산업 현황 등을 점검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산업통상자원부도 다음달 중 반도체 전략을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 전문가들은 미국의 경우 행정부 최고책임자인 대통령이 직접 나서 반도체 패권 경쟁을 분명히 한 가운데, 우리나라는 적극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 정부가 어떤 복안을 내놓을지 주목하는 이유다.
업계에서는 장기적으로 정부의 반도체 전략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반도체는 단순한 상품이 아니라 국가 경제는 물론 안보까지 좌우하는 전략 물자로 부상했다"며 "반도체 산업의 기존 우위를 공고히 다지는 한편 신사업 분야를 개척하고 신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국가 전략을 정부와 업계가 합심해 마련해야 할 때"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