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을 포함한 비강남권 소형 주택형이 대출금지선인 15억원을 속속 넘고 있다. 서울 아파트값이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비강남권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전용 84㎡는 20억원, 전용 59㎡ 15억원'이라는 새로운 기준이 생기는 모습이다.
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용산구 이촌동 '강촌아파트' 전용면적 59㎡가 지난달 18일 15억7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이 주택형은 지난해 10월 13억9000만원, 12월 15억원에 각각 거래돼 3개월 만에 2억원 가까이 올랐다.
용산구에서는 '한가람아파트' 59㎡가 지난해 8월 15억원을 기록한 이후 60㎡ 이하 소형 아파트가 꾸준히 15억원 이상 거래되고 있다.
서울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7단지' 전용면적 59㎡는 지난달 9일 15억9500만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기록했다. 목동에서 이 면적대 아파트가 15억원 이상에 거래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마포구 아현동 '마포래미안푸르지오' 59㎡도 지난해 12월 15억3500만원에 매매됐으며 동작구 흑석동 '아크로리버하임', 종로구 홍파동 '경희궁자이2단지', 강동구 고덕동 '고덕 그라시움'의 비슷한 면적대 아파트에서도 15억원을 웃돈 금액이 잇따라 실거래됐다.
15억원은 초고가 아파트 기준이자 서울 아파트 가격의 심리적 저항선으로 인식돼 왔다. 정부가 투기과열지구 내 시가 15억원 초과 아파트에 대한 주택담보대출을 전면 금지했기 때문에 '고가 주택'의 기준점으로 받아들여졌는데, 소형 주택형으로까지 실거래가 15억원 이상 거래가 번지는 양상이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소형 주택형이라고 하더라도 입지와 학군이 좋은 곳은 오르게 돼 있다"며 "신축은 선호도가 높고 구축은 개발 기대감이 이슈에 반영되기 때문에 상승 가능성을 보고 수요가 몰리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비강남권 아파트의 소형주택형 아파트가 대출금지선을 넘는 동안 강남권 아파트는 3.3㎡당 2억원을 향해 질주하고 있다.
강남구 개포동 '개포주공 1단지' 전용 56㎡는 지난해 30억9500억에 거래돼 3.3㎡당 가격이 1억8086만원에 달했다. 이 단지는 재건축이 진행 중인 아파트(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로, 입주 후 넓은 주택형을 받을 수 있는 미래가치 때문에 가격이 높게 책정됐다.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84㎡는 지난달 37억2000만원에 거래돼 3.3㎡당 1억4472만원을 기록했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정부가 설 연휴 전 주택공급 확대를 위해 '특단의 대책'을 내놓겠다고 했지만, 신고가를 경신하는 단지가 계속 나오는 분위기"라며 "세금 인상 압박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똘똘한 한 채' 선호현상이 강해진 데다 장기화되는 저금리 기조와 공급 부족 신호까지 더해져 집값이 계속 상승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정부의 공급대책 이후에도 집값이 상승할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다. 실수요자가 원하는 것은 서울 도심 한복판의 질 좋은 아파트인데 정부는 임대나 공공 위주의 공급안을 고심 중이기 때문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신년 기자회견에서 "공공부문의 참여를 늘린 공공 재개발과 역세권 개발, 신규택지의 과감한 개발"을 언급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기관이 참여해 서울 역세권과 준공업지역, 저층주거지역을 고밀도로 개발하고 용적률 상향이나 도시규제 완화 같은 혜택을 주겠다는 것이다.
권일 팀장은 "현재 정부에서 말하는 공급대책은 실수요자들이 생각하는 상품적인 측면과 거리가 멀어 서울과 도심지역 수요를 분산시키는 데 효과가 없다"며 "정부 대책 발표에도 집값이 상승할 것이란 기대감이 커 당장 시장을 안정화 시키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용산구 이촌동 '강촌아파트' 전용면적 59㎡가 지난달 18일 15억7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이 주택형은 지난해 10월 13억9000만원, 12월 15억원에 각각 거래돼 3개월 만에 2억원 가까이 올랐다.
용산구에서는 '한가람아파트' 59㎡가 지난해 8월 15억원을 기록한 이후 60㎡ 이하 소형 아파트가 꾸준히 15억원 이상 거래되고 있다.
서울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7단지' 전용면적 59㎡는 지난달 9일 15억9500만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기록했다. 목동에서 이 면적대 아파트가 15억원 이상에 거래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5억원은 초고가 아파트 기준이자 서울 아파트 가격의 심리적 저항선으로 인식돼 왔다. 정부가 투기과열지구 내 시가 15억원 초과 아파트에 대한 주택담보대출을 전면 금지했기 때문에 '고가 주택'의 기준점으로 받아들여졌는데, 소형 주택형으로까지 실거래가 15억원 이상 거래가 번지는 양상이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소형 주택형이라고 하더라도 입지와 학군이 좋은 곳은 오르게 돼 있다"며 "신축은 선호도가 높고 구축은 개발 기대감이 이슈에 반영되기 때문에 상승 가능성을 보고 수요가 몰리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비강남권 아파트의 소형주택형 아파트가 대출금지선을 넘는 동안 강남권 아파트는 3.3㎡당 2억원을 향해 질주하고 있다.
강남구 개포동 '개포주공 1단지' 전용 56㎡는 지난해 30억9500억에 거래돼 3.3㎡당 가격이 1억8086만원에 달했다. 이 단지는 재건축이 진행 중인 아파트(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로, 입주 후 넓은 주택형을 받을 수 있는 미래가치 때문에 가격이 높게 책정됐다.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84㎡는 지난달 37억2000만원에 거래돼 3.3㎡당 1억4472만원을 기록했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정부가 설 연휴 전 주택공급 확대를 위해 '특단의 대책'을 내놓겠다고 했지만, 신고가를 경신하는 단지가 계속 나오는 분위기"라며 "세금 인상 압박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똘똘한 한 채' 선호현상이 강해진 데다 장기화되는 저금리 기조와 공급 부족 신호까지 더해져 집값이 계속 상승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정부의 공급대책 이후에도 집값이 상승할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다. 실수요자가 원하는 것은 서울 도심 한복판의 질 좋은 아파트인데 정부는 임대나 공공 위주의 공급안을 고심 중이기 때문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신년 기자회견에서 "공공부문의 참여를 늘린 공공 재개발과 역세권 개발, 신규택지의 과감한 개발"을 언급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기관이 참여해 서울 역세권과 준공업지역, 저층주거지역을 고밀도로 개발하고 용적률 상향이나 도시규제 완화 같은 혜택을 주겠다는 것이다.
권일 팀장은 "현재 정부에서 말하는 공급대책은 실수요자들이 생각하는 상품적인 측면과 거리가 멀어 서울과 도심지역 수요를 분산시키는 데 효과가 없다"며 "정부 대책 발표에도 집값이 상승할 것이란 기대감이 커 당장 시장을 안정화 시키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