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시대 개막을 앞두고 시장은 들뜬 분위기다. 새 정부가 시작되는 데 따른 기대심리가 이번 주(18~22일) 뉴욕증시를 지지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최근 오름세를 보이는 미국 국채 금리와 코로나19 확산 상황 등은 시장의 핵심 변수다.
통상 뉴욕증시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좋은 성적을 거뒀었다. 투자리서치회사 CFRA에 따르면 1952년 민주당 대통령 취임 이후 첫 100일간 S&P500지수는 평균 3.5% 뛰었다. 공화당 대통령 취임 이후 0.5% 상승하는 것과 비교해보면 시장은 민주당 집권 이후 더 놀라운 상승세를 보여왔다.
다만 일각에서는 통상 신임 행정부 취임 이후 100일간 누리는 '허니문 랠리'가 바이든 정부에서는 기대하기 쉽지 않다는 관측도 나온다. 바이든 당선인은 지난주 1조9000억 달러(약2082조4000억원) 규모의 대형 부양책을 제시했다. 이미 공개된 만큼 이로 인한 추가 상승 동력을 찾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바이든표 부양책 발표 이후 시장 반응은 시큰둥했다. 부양책 기대감이 이미 상당폭 가격에 반영됐기 때문이다.
더욱이 대규모 부양책이 증세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까지 나온 상황. 민주당은 대선 전부터 증세 필요성을 강조했었다. 부양책 재원을 조달하기 위해서는 법인세를 포함한 각종 세금 인상이 추진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우려가 주가 상승에 발목을 잡을 수도 있다. 앞서 ING의 제임스 나이틀리 수석 글로벌 경제학자는 "국가부채가 국내총생산(GDP)의 100%를 넘는 상황에서 어느 시점에는 법인세와 소득세, 자본소득세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탄핵안으로 민주당과 공화당이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부양책이 원만하게 합의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여기에 공화당이 절반의 의석을 장악한 상원을 통과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도 짙다.
옐런은 적극적인 재정 지출을 옹호하는 전형적인 케인지언(keynesian·케인스주의자)으로 평가받는다. 때문에 일단 시장은 옐런이 팬데믹 이후 주저앉은 미국 경제를 일으켜 세우기 위해 막대한 규모의 재정 지출 정책을 펼칠 것으로 보고 있다. 예상대로 그가 적극적인 경기 회복 정책과 함께 비둘기파적(완화정책 선호) 발언을 내놓는다면 투자 심리에 도움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국채 금리의 움직임도 시장이 주목하는 재료다. 지난주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장중 한때 1.2%에 바짝 다가섰다. 부양책과 경기 회복 기대감이 금리를 밀어올렸다. 또 물가 상승 전망과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테이퍼링(채권매입 축소) 등 통화 완화 축소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시장 전반에 불안감이 깔렸다.
그러나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아직은 출구를 논의할 시기가 아니라고 선을 그어 조기 테이퍼링 논란은 수면 아래로 물러났다. 다만 금리 상승세가 멈출 것인지는 예단하기 이르다. 다음 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금리 변동성이 커지면서 증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여전하기 때문이다.
이동 제한령이나 영업시간 제한 등으로 인해 경제 충격이 더 커질 수밖에 없다. 특히 팬데믹의 초기 진앙인 중국에서 환자가 다시 늘어나 봉쇄 조치가 강화된 점 역시 시장을 더욱 불안하게 하고 있다.
코로나19 종식의 유일한 희망인 백신 접종 속도는 여전히 더디다. 미국 제약사 화이자가 앞으로 3~4주 동안 유럽연합(EU)에 약속한 코로나19 백신 물량을 공급하지 못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백신 접종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세계 최대 감염국인 미국에서도 백신 품귀 사태로 일부 지역에서 접종 중단 사태까지 발생하고 있다.
바이든 시대 열린다...'허니문 랠리'가 뉴욕증시 띄울까
바이든 당선인은 오는 20일(현지시간) 46대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한다. 정권 이양 기간 말 많고 탈 많던 사건·사고로 어느 때보다 혼란스러웠지만, 시장에서는 새 정부 출범에 대한 기대가 크다.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 미국 경제에 훈풍이 불 것이라는 기대 심리가 증시를 지지할 것으로 보인다.통상 뉴욕증시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좋은 성적을 거뒀었다. 투자리서치회사 CFRA에 따르면 1952년 민주당 대통령 취임 이후 첫 100일간 S&P500지수는 평균 3.5% 뛰었다. 공화당 대통령 취임 이후 0.5% 상승하는 것과 비교해보면 시장은 민주당 집권 이후 더 놀라운 상승세를 보여왔다.
더욱이 대규모 부양책이 증세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까지 나온 상황. 민주당은 대선 전부터 증세 필요성을 강조했었다. 부양책 재원을 조달하기 위해서는 법인세를 포함한 각종 세금 인상이 추진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우려가 주가 상승에 발목을 잡을 수도 있다. 앞서 ING의 제임스 나이틀리 수석 글로벌 경제학자는 "국가부채가 국내총생산(GDP)의 100%를 넘는 상황에서 어느 시점에는 법인세와 소득세, 자본소득세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탄핵안으로 민주당과 공화당이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부양책이 원만하게 합의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여기에 공화당이 절반의 의석을 장악한 상원을 통과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도 짙다.
옐런 입에 쏠린 눈...비둘기적 발언 내놓으면 시장에 훈풍
시장은 재닛 옐런 재무장관 지명자가 오는 19일 인준청문회에서 어떤 발언을 할지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위기라는 절박한 시국과 맞물려 재무장관으로 지명된 옐런이 어떤 발언을 쏟아낼지 주목된다.옐런은 적극적인 재정 지출을 옹호하는 전형적인 케인지언(keynesian·케인스주의자)으로 평가받는다. 때문에 일단 시장은 옐런이 팬데믹 이후 주저앉은 미국 경제를 일으켜 세우기 위해 막대한 규모의 재정 지출 정책을 펼칠 것으로 보고 있다. 예상대로 그가 적극적인 경기 회복 정책과 함께 비둘기파적(완화정책 선호) 발언을 내놓는다면 투자 심리에 도움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국채 금리의 움직임도 시장이 주목하는 재료다. 지난주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장중 한때 1.2%에 바짝 다가섰다. 부양책과 경기 회복 기대감이 금리를 밀어올렸다. 또 물가 상승 전망과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테이퍼링(채권매입 축소) 등 통화 완화 축소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시장 전반에 불안감이 깔렸다.
그러나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아직은 출구를 논의할 시기가 아니라고 선을 그어 조기 테이퍼링 논란은 수면 아래로 물러났다. 다만 금리 상승세가 멈출 것인지는 예단하기 이르다. 다음 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금리 변동성이 커지면서 증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여전하기 때문이다.
일파만파 퍼지는 코로나 확산세와 백신 접종 속도가 관건
전 세계에서 맹위를 떨치고 있는 코로나19 확산 상황도 여전히 핵심 변수다. 코로나19 확산세도 사그라지지 않는 가운데 변이 바이러스까지 등장하면서 감염 공포에 휩싸인 세계 각국은 잇따라 강화된 방역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영국은 모든 입국자에 대해 코로나19 사전 검사와 일정 기간 격리를 의무화했다. 독일과 프랑스도 봉쇄를 강화할 것이라는 예고가 꾸준히 나오는 상황.이동 제한령이나 영업시간 제한 등으로 인해 경제 충격이 더 커질 수밖에 없다. 특히 팬데믹의 초기 진앙인 중국에서 환자가 다시 늘어나 봉쇄 조치가 강화된 점 역시 시장을 더욱 불안하게 하고 있다.
코로나19 종식의 유일한 희망인 백신 접종 속도는 여전히 더디다. 미국 제약사 화이자가 앞으로 3~4주 동안 유럽연합(EU)에 약속한 코로나19 백신 물량을 공급하지 못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백신 접종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세계 최대 감염국인 미국에서도 백신 품귀 사태로 일부 지역에서 접종 중단 사태까지 발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