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 당시만 하더라도 '시기상조'라는 회의적 시선이 적지 않았다. 그도 그럴 것이 현재 2단계 수준인 테슬라의 자율주행 기술이 한 번에 2~3단계를 뛰어넘는 '기술적 퀀텀점프'를 이루게 되기 때문이다.
대변혁기에 접어든 자율주행차 시장에서 주도권을 유지하려는 미국과 미국을 제치고 1위로 올라서려는 중국의 각축전이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다. 차량개발은 민간 업체 주도로 이뤄지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 마련은 결국 정부의 몫이다.
현재 자율주행차 1위 국가는 단연 미국이다. 미국은 '연방 자동차 안전기준' 요건만 충족하면 차량을 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네거티브 규제 방식으로 기업 지원에 나서고 있다.
전세계에서 처음으로 정부가 자율주행차의 기술 혁신과 안전 확보를 위한 권고사항을 만들어 민간에 제시했다는 점도 의미가 있다.
선제적인 움직임 덕분에 미국은 자율주행 기술에서 압도적 우위를 보이고 있다. 지난 3월 가이드하우스 인사이트가 발표한 자율주행 기술 종합순위에 따르면 1위는 구글 웨이모, 2위는 포드, 3위는 제너럴모터스(GM) 크루즈가 차지했다.
눈에 띄는 점은 중국 바이두가 4위를 차지했다는 점이다. 중국 스타트업 포니닷에이아이와 알리바바그룹이 투자한 스타트업 오토엑스, 차량 호출기업 디디추싱도 그 뒤를 바짝 쫓고 있다.
미국이 최첨단 기술력을 갖춘 글로벌 기업을 뒤에서 지원하고 있다면, 중국은 규제를 풀고 관련 인프라를 확충하는 방식으로 기업의 기술 개발을 뒷받침하고 있다.
베이징시 정부는 바이두에 자율주행 택시 시범운행 면허를 발급했다. 수도이자 문화 중심지인 베이징에서 첫 허가가 나온 만큼 중국 내 자율주행차 보급이 벌써 가시권에 들어온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상하이, 창사 등 다른 지방정부에서도 일반인을 대상으로 자율주행차 시승 실증시험을 지원하고 있다.
올 4월에는 중국 교통운수부가 707억 위안(약 12조원)을 투입해 항저우와 닝보를 잇는 161㎞ 길이의 스마트 고속도로 건설에 착수했다. 이 고속도로에는 5G 무선 네트워크 인프라와 자율주행차 전용 관제탑 등이 설치돼 차량과 도로, 통제 센터 간 초고속 통신이 가능하다.
중국 정부는 친환경 정책 일환으로 현재 5% 미만에 불과한 전기차 보급률을 2025년엔 25%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목표가 현실화되면 2025년 공급량은 500만대 이상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