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한국감정원에서 운영하는 부동산테크의 시·도별 아파트 통계에 따르면 올해 기준 서울 아파트의 평균 연식은 20.9년으로, 전국에서 가장 노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대전 20.2년, 광주 19.5년, 전북 19.4년, 인천과 부산이 각각 19.2년 등으로 뒤를 이었다. 세종시 아파트의 평균 연식은 6.3년으로 가장 젊었다.
서울에서 준공 20년 이상 노후 아파트 비율은 80%를 웃돌았다. 부동산 전문 리서치 업체 리얼투데이가 통계청의 ‘주택의 종류, 연면적 및 건축연도별 주택’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국의 준공 20년 이상 노후 아파트는 137만7457호로 전체(172만691호)의 80.05%에 달한다.
구별로 보면 노원구(97.74%), 도봉구(97.41%), 관악구(90.89%) 순으로 준공 20년 이상 노후 아파트 비율이 높았다. 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은평구(56.87%)로, 그래도 과반수는 노후 아파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30년 이상 노후 아파트는 총 29만3007호였다. 전체의 17.03% 비율이다.
이 밖에 1965년에 각각 준공된 성북구 '돈암'과 중구 '정동아파트', 1969년 준공된 서대문구 미동 등도 반세기를 넘겼다. 서울의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아파트 가운데 가장 오래된 곳은 1971년 입주를 시작한 영등포구 여의도동 시범아파트(1578가구)다.
서울 노후 주택은 계속해서 늘고 있지만, 정부가 사실상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을 가로막으면서 개선의 여지는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실제로 서울 재개발‧재건축 해제 면적이 3기 신도시 3곳을 합한 규모보다 크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노후 아파트 개선책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는 분위기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송언석 국민의힘 의원(경북 김천)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서울에서 해제된 재개발‧재건축 사업은 389곳에 달한다. 면적은 총 약 1371만㎡로, 3기 신도시인 하남 교산·인천 계양·부천 대장 지구 개발 면적을 합한 규모(1327만㎡)보다 크다.
그러나 같은 기간 동안 서울에 신규로 지정된 재개발‧재건축 지역은 174곳(재개발 83곳, 재건축 91곳)이었고, 착공이 진행된 지역은 21곳(재개발 2곳, 재건축 19곳)에 불과했다. 정부가 정비사업을 옥죄면서 재개발‧재건축 사업은 그림의 떡인 셈이다.
송 의원은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좌초되며 공급부족이 발생해 집값 폭등 현상에 큰 원인이 됐다”며 “정부와 지자체는 합리적인 재개발‧재건축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 주택공급 확대를 통한 시장안정화에 나서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도 정부가 정비사업을 봉쇄한 상태에선 서울 아파트의 노후화로 인한 도시 슬럼화를 막을 수가 없다는 우려가 나온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아파트가 노후화할수록 도시는 점점 슬럼화·노후화된다. 수리만으로는 해결이 안 되고 새로 지어야 하는 시점이 온다"면서 "도시재생사업을 활성화하지 않으면 도시는 점차 슬럼화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한 시민들의 삶의 질도 덩달아 낮아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