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영 '한반도 평화 지지' 요구에 日대사 "제재이행·납북자 문제 해결 먼저"

2020-09-01 18:19
  • 글자크기 설정

이인영 장관, 1일 도미타 코지 日대사 접견

이 장관 "동북아 전체의 평화, 日에도 유익"

日대사 "유엔 결의 이행·납치문제 해결부터"

이인영 통일부 장관이 1일 도미타 고지(富田浩司) 주한 일본대사를 만나 자신의 대북정책 구상을 소개하고, 남북 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진전을 위한 일본의 협력을 요청했다.

그러나 도미타 대사는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한 한국의 노력을 충분히 알고 있다면서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안 이행과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장관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 7층 장관실에서 도미타 대사를 만난 자리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사임에 대해 안타까움을 전하면서 “앞으로 구성되는 일본 정부와 우리 정부는 변함없이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별히 한반도 평화와 동북아 평화를 위해서 (양국이) 긴밀히 협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그는 “일본 내부 일각에서 급속한 남북 관계 개선을 우려하는 시각이 있다는 것도 전해 들었다”면서도 “대다수 일본인은 남북 관계 발전과 한반도 평화를 확실하게 지지해주신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이어 “남북 관계 개선을 통한 한반도 평화정세의 조성은 동북아 전체의 평화와 안정으로 이어져 일본에도 매우 유익할 것”이라며 한반도 평화 발전에 대한 일본의 지지를 부탁했다.

이에 대해 도미타 대사는 “남북 관계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개선하는 길을 인도하려는 한국 정부의 노력을 충분히 알고 있다”면서 “한·일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 궁극적인 목적이라는 점에서 완벽히 일치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인영 통일부 장관(오른쪽)이 1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내 장관실에서 도미타 고지(富田浩司) 주한 일본대사를 만나 대화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 장관은 “한반도 평화로 가는 여정에서 일본은 가장 가까운 이웃”이라면서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을 언급했다. 그는 “2018년 평창에서의 평화 기운이 도쿄올림픽으로 이어지고 그 뒤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통해 확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면서 한·중·일이 함께 만드는 동북아 평화가 세계 평화와 안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했다.

도미타 대사는 이 장관의 말에 공감하면서도 북·미 비핵화 협상,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 등 북한을 둘러싼 여러 현안이 먼저 해결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도미타 대사는 “비핵화에 대해선 북·미 간 프로세스가 침체한 점을 우려하고 있다”면서 “북·미 간 합의가 신속히 이행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하고 그 과정에서 유엔 안보리 결의도 계속 이행하여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일·북 평양선언을 토대로 납치, 핵, 미사일 등 여러 현안을 포괄적으로 해결한 뒤 과거를 청산하고 일·북 수교를 실현한다는 게 일본의 북한에 대한 정책은 일관된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또 “북한에 의한 납치 문제는 아베 정권에서도 중요한 과제였고 아베 총리도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점을 안타깝게 생각한다. 새로운 정부 들어서도 계속해서 납치 문제는 매우 중요한 과제”라며 한국 정부의 이해와 협력을 부탁했다.

도미타 대사의 부탁에 이 장관은 “일본과 북의 관계가 평화적으로 대화를 통해서 개선될 수 있기를 한국 정부도 진심으로 희망한다”면서 “한국 정부는 일·북 관계 개선과정에서도 협력할 게 있으면 협력하겠으니, 남북 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를 위하는 과정에 일본 정부의 협력을 거듭 부탁한다”고 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