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노동당 차원의 국가적 회의 주재를 통해 최고지도자로서의 모습을 강조하고 있다.
26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전날 당 중앙위 본부청사에서 제7기 제17차 정치국 확대회의와 제7기 제5차 정무국 회의를 연이어 주재하고 국가방역사업과 태풍 피해 예방책 등 대내 주요 현안을 논의했다.
김 위원장의 이번 회의 주재는 지난 19일 제7기 제6차 전원회의 이후 6일 만이다. 정치국 회의 주재는 12일, 정무국 회의는 20일 만이다.
통일부에 따르면 김 위원장의 올해 공개 행보는 이날까지 총 34회(상반기 20회·하반기 14회)이다. 이는 지난해 전체 85회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이처럼 김 위원장의 공개 행보가 줄어든 상황에서도 당 중앙위 회의 주재 횟수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김 위원장의 올해 당 회의 주재 횟수는 이날까지 총 13차례로 지난 2012년 집권 이후 최다 수준이다. 주재 회의 형식도 정치국 확대회의, 정치국 회의, 정치국 비상확대회의, 당 중앙군사위원회 확대회의, 예비회의, 정무국 회의, 전원회의 등으로 다양하다.
특히 당 중앙군사위원회 예비회의는 집권 후 처음 등장한 회의 형식이었고, 코로나19 상황에 맞게 최초로 비대면 화상회의로 진행했다. 당 중앙위 정무국 회의 내용을 공개한 것도 올해가 처음이다.
김 위원장은 집권 이후 회의를 통해 중요 정책 결정을 내리고 이를 공표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그러나 최근처럼 잦은 회의 주재는 이례적으로, 코로나19 시대에서 북한 최고지도자의 통치 형태가 변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이날 본지와의 통화에서 “당 중심의 운영체계를 정상화한다는 것”이라며 과거 현지지도 중심이었던 북한 최고지도자의 통치 형태가 회의체 중심으로 변화했다고 분석했다.
홍 실장은 “최근 김 위원장의 회의 주재 행보를 보면 정치국 회의, 전원회의를 통해서 당 대회로 가는 룰(rule)을 지키려고 하는 것 같다”면서 “회의체 성격에 따라 정확하게 자기 임무를 하는, 최고지도자로서 각 현안에 대해 예방적·사후적으로 잘 대응한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의도”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의 이런 의도가 코로나19 상황과 맞물려 있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의 잦은 회의 주재가 북한의 경제난 악화를 입증한다는 주장도 있다.
대북제재, 코로나19, 수해 등으로 악화한 경제난에 커진 주민들의 불만을 김 위원장의 ‘애민정신’ 강조로 잠재우려 한다는 판단에서다. 실제 김 위원장이 주재한 회의 내용은 주로 코로나19 방역과 수해복구 등 주민의 생활 안정에 초점이 맞춰졌다.
중국 해관총서 홈페이지에 따르면 지난 7월 북한의 대중(對中) 수출입 무역규모는 7384만 달러(약 876억378만원)로 지난 6월(9680만 달러)보다 24%가 감소했다.
지난 1월 북한이 코로나19 대응조치로 북·중 국경을 봉쇄하면서 양국 간 무역규모는 전년 대비 급감했다. 올해 1~7월 북한의 대중 누적 무역규모는 4억8452만 달러로 지난해의 14억7000달러에서 줄었다.
한편 이날 공개된 북한 정치국 확대회의 사진에는 정치국 상무위원들인 최룡해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 박봉주 국무위원회 부위원장, 리병철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김덕훈 내각총리의 모습이 담겼다.
또 정치국 위원들인 리일환·최휘·김영철·김형준 당 부위원장과 박정천 군 총참모장, 김수길 군 총정치국장, 정치국 후보위원인 조용원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 현송월 당 선전선동부 부부장, 오춘복 내각 보건상 등도 참석한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북한 2인자’로 평가받는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의 모습은 없었다.
이에 대해 홍 실장은 “김 제1부부장은 대미, 대남 등 대외 사업 총괄자이다. 이번 회의의 주요 의제는 코로나19 방역, 태풍 피해 예방 등이었다”면서 “김 제1부부장과는 연관이 없는 사안이라서 참석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송월은 선전선동부이기 때문에 주민들을 상대로 어떻게 선전하느냐를 논의하기 위해 참석했을 수 있다”라고 부연했다.
26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전날 당 중앙위 본부청사에서 제7기 제17차 정치국 확대회의와 제7기 제5차 정무국 회의를 연이어 주재하고 국가방역사업과 태풍 피해 예방책 등 대내 주요 현안을 논의했다.
김 위원장의 이번 회의 주재는 지난 19일 제7기 제6차 전원회의 이후 6일 만이다. 정치국 회의 주재는 12일, 정무국 회의는 20일 만이다.
통일부에 따르면 김 위원장의 올해 공개 행보는 이날까지 총 34회(상반기 20회·하반기 14회)이다. 이는 지난해 전체 85회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이처럼 김 위원장의 공개 행보가 줄어든 상황에서도 당 중앙위 회의 주재 횟수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특히 당 중앙군사위원회 예비회의는 집권 후 처음 등장한 회의 형식이었고, 코로나19 상황에 맞게 최초로 비대면 화상회의로 진행했다. 당 중앙위 정무국 회의 내용을 공개한 것도 올해가 처음이다.
김 위원장은 집권 이후 회의를 통해 중요 정책 결정을 내리고 이를 공표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그러나 최근처럼 잦은 회의 주재는 이례적으로, 코로나19 시대에서 북한 최고지도자의 통치 형태가 변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이날 본지와의 통화에서 “당 중심의 운영체계를 정상화한다는 것”이라며 과거 현지지도 중심이었던 북한 최고지도자의 통치 형태가 회의체 중심으로 변화했다고 분석했다.
홍 실장은 “최근 김 위원장의 회의 주재 행보를 보면 정치국 회의, 전원회의를 통해서 당 대회로 가는 룰(rule)을 지키려고 하는 것 같다”면서 “회의체 성격에 따라 정확하게 자기 임무를 하는, 최고지도자로서 각 현안에 대해 예방적·사후적으로 잘 대응한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의도”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의 이런 의도가 코로나19 상황과 맞물려 있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의 잦은 회의 주재가 북한의 경제난 악화를 입증한다는 주장도 있다.
대북제재, 코로나19, 수해 등으로 악화한 경제난에 커진 주민들의 불만을 김 위원장의 ‘애민정신’ 강조로 잠재우려 한다는 판단에서다. 실제 김 위원장이 주재한 회의 내용은 주로 코로나19 방역과 수해복구 등 주민의 생활 안정에 초점이 맞춰졌다.
중국 해관총서 홈페이지에 따르면 지난 7월 북한의 대중(對中) 수출입 무역규모는 7384만 달러(약 876억378만원)로 지난 6월(9680만 달러)보다 24%가 감소했다.
지난 1월 북한이 코로나19 대응조치로 북·중 국경을 봉쇄하면서 양국 간 무역규모는 전년 대비 급감했다. 올해 1~7월 북한의 대중 누적 무역규모는 4억8452만 달러로 지난해의 14억7000달러에서 줄었다.
한편 이날 공개된 북한 정치국 확대회의 사진에는 정치국 상무위원들인 최룡해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 박봉주 국무위원회 부위원장, 리병철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김덕훈 내각총리의 모습이 담겼다.
또 정치국 위원들인 리일환·최휘·김영철·김형준 당 부위원장과 박정천 군 총참모장, 김수길 군 총정치국장, 정치국 후보위원인 조용원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 현송월 당 선전선동부 부부장, 오춘복 내각 보건상 등도 참석한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북한 2인자’로 평가받는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의 모습은 없었다.
이에 대해 홍 실장은 “김 제1부부장은 대미, 대남 등 대외 사업 총괄자이다. 이번 회의의 주요 의제는 코로나19 방역, 태풍 피해 예방 등이었다”면서 “김 제1부부장과는 연관이 없는 사안이라서 참석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송월은 선전선동부이기 때문에 주민들을 상대로 어떻게 선전하느냐를 논의하기 위해 참석했을 수 있다”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