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학계가 앞으로 기업승계에 대한 학술연구를 본격화하기로 했다. 기업승계가 국내 경영 현실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함에도 연구자료가 부족해 제대로 된 정책으로 발전하지 못했다는 판단에서다. 설립된 지 60년이 넘은 ‘한국경영학회’가 먼저 기업승계를 공식 주제로 다루기로 했다.
중소기업중앙회와 한국경영학회는 19일 ‘중소기업과 가업승계 특별세션’을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특별세션은 1959년 설립돼 국내 경영학 분야 대표학회인 한국경영학회가 주관했다. 경영학회가 기업승계를 주제로 세션을 마련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러면서 “이번 학술세션은 기업승계에 대해 경영학적 학술연구를 공식화 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첫 주제발표는 이영한 서울시립대 교수가 맡았다. 그는 ‘기업승계 세제지원의 필요성과 가업승계 증여세과세특례 제도 개선방안’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창업자의 경영이념·철학의 계승·유지가 장수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고, 가업승계기업의 장기성과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상증세 부담으로 매각 등 사업포기나 조세회피전략 구사 등 부작용을 낳는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가업상속공제 확대를 주장했다.
‘가업승계 활성화를 위한 가업상속공제 제도 개선방안’을 주제로 이어진 발표에선 박종성 숙명여대 교수는 가업상속공제를 ‘기업상속공제’로 용어를 변경하고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중소기업이 4차 산업혁명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업종변경을 전면 허용해야 한다”며 “자식이 기업승계를 포기해 폐업하는 상황을 막기 위해 전문경영인을 도입할 수 있도록 소유권과 경영권의 분리 승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