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86명의 확진자가 발생한 메르스로 인한 사회경제적 피해 비용이 10조 8449억원에 이른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메르스 치료 및 확진자 발생으로 인한 폐쇄 관리를 위해 의료기관 및 약국, 상점에 지급된 손실보상금은 1781억원으로 조사됐다.
메르스로 인해 전국 17개 시도가 지급한 긴급생계비와 메르스 사망자 유족에게 지급한 장례비용은 각각 142억원과 4억 5000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메르스로 인한 전체 산업의 생산유발 감소액은 메르스가 발생한 2015년 6월부터 8월까지 3개월간 6조원을 넘어섰다.
세부 산업별 생산유발 감소액은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업이 1조6030억원(25.8%)이며 △문화 및 기타 서비스업 7760억원(12.5%), △운송서비스업 7520억원(12.1%), △도소매서비스업 6,380억원(10.3%)으로 주요 서비스업의 감소액이 3조7690억원으로 전체의 60.6%를 차지했다.
메르스로 인한 부가가치유발 감소액은 같은 기간 동안 전체 산업에서 4조3972억원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세부 산업별로는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업 6,583억원(15.0%), △도소매서비스업 5,850억원(13.3%), △문화 및 기타 서비스업 4,219억원(9.6%), △운송서비스업 3,717억원(8.5%)으로 주요 서비스업의 부가가치유발 감소액이 2조370억원으로 전체의 46.3%였다.
고용 또한 메르스로 인해 2015년 6월 한 달 동안 국내 전체 산업에서 4만7,053개의 일자리가 창출되지 못했고 6월부터 8월까지 3개월 동안은 7만3,586개의 일자리가 창출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보고서는 이번 ‘코로나19’ 유행과 관련해 “메르스가 경제에 미친 영향은 3개월 정도의 비교적 단기 충격이었다면 ‘코로나19’가 미치는 사회경제적 폐해는 현재로서는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양경숙 의원은 “초유의 코로나19 사태를 통해 신종 감염병이 사회경제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막대한지 경험했다”며 “신종 감염병 예방 및 대응 체계를 보다 철저하고 면밀하게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