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한국선주협회가 최근 회원사와 주요국가 항만 홈페이지를 통해 입수분석한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한 각국의 항만관리대책’에 따르면 미국과 스페인 등 국가는 코로나19 여파로 각국 항만 입항선박 관리를 강화하면서 외국선박의 선원교대 금지조치를 내렸다.
우선 미국은 코로나19 예방대책의 일환으로 자국항만에 기항하는 외국선박에 대해 질병이나 사망자가 있을 경우 입항 15일 전에 보건당국에 신고하도록 의무화했다.
또 14일 이내 중국 기항 또는 중국 방문 승선자가 있을 경우 관련 당국에 신고하고 당국 통제하에 작업을 시행하고 선원들의 상륙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렸다. 여기에 중국인 선원 또는 중국에서 14일 이내에 출발했던 선원에 대해서는 미국항만에서 선원교대를 금지했다.
싱가포르는 최근 14일 이내 중국 기항 또는 중국 방문 승선자가 있을 경우 입항 24시간 전에 관련당국에 신고하고, 싱가포르 기항 14일 이내 한국의 대구와 경북, 중국 전역(홍콩, 마카오 포함),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스페인에 체류했던 선원들의 상륙을 불허하고 있다.
중국은 각 항만마다 별도규제를 적용하고 있는데, 천진항의 경우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이란,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스페인, 미국을 기항한 선박에 승선 중인 선원이 기침이나 발열시 입항을 금지하고 있다.
물동량이 감소하고 운임 단가도 하락하는 상황에서 각국 항만당국의 통제 강화는 해운업계를 더욱 얼어붙게 하고 있다. 실제 국내 물동량은 코로나19 최고점으로 접어드는 2월 중국 수출입 물동량은 1356만1000톤(t)에 그쳐 작년 같은 기간 1536만t에 비해 11.7% 감소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중국 등 세계 무역이 위축되면서 해운 업황을 보여주는 지표인 벌크 화물 운임 지수(BDI)는 지난 2월 4년 만의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기도 했다. 올해 1분기 BDI 평균은 591포인트로, 지난 25년간 분기 평균으로는 2016년 1분기의 358포인트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낮은 수치다.
문제는 주요 항만에서 선원 교대가 여의치 않은 상황이 계속될 경우 안전운항 현장을 책임지는 선원들의 부담이 커져 생산이나 공급의 연쇄적 과정이 붕괴될 수 있다는 점이다.
국내 해운업계 역시 이 점을 인식하며 해외 항만당국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물동량이 감소한 데다 선원들의 교대문제까지 번지면서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면서 “글로벌 서플라이 체인이 해운운송을 통해 이어지고 있는 만큼 대응 방안에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선주협회는 “각국의 항만관리대책을 정리해 회원사에 송부하고, 외국항만 입항시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줄 것을 당부했다”고 밝혔다.
한편 각국 선주협회가 가입한 국제해운회의소와 국제운수노련이 공동으로 설치한 테스크포스(TF)에서는 선원 교대를 집중적으로 실시하는 항만을 지정·정비할 것을 논의하고 있다.
현재 TF에서 한·중 주요 항만이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코로나바이러스가 진정 국면에 들어선 국가의 항만을 우선적으로 지정할 계획이며, 해당 정책 당국에 협조를 요청해 빠르면 4월 중에 범세계적 선원교대 거점항만을 선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