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뿐만 아니라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도 추가 부양안 작업에 돌입할 것이라는 전망도 잇따르고 있다. 미국 내 확진자가 14만명을 넘어서면서 사태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불안이 정부와 중앙은행의 발 빠른 움직임을 재촉하고 있다.
29일 트럼프 대통령은 경제활동 재개 선언 시점을 미뤘다. 이날 코로나19 대응 관련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 방침을 다음 달 30일까지 연장한다고 밝혔다. 애초 4월 12일 경제활동을 정상화하겠다는 발표에서 한 발 물러섰다. 미국의 현재 상황이 불안정하다는 의미다.
경제활동 중단 기간이 길어지면 미국 국민과 기업들이 버텨야 하는 시간은 더 늘어난다. 이 때문에 추가 부양책이 필요할 수 있다고 현지 언론은 지적했다. 현재 논의하는 4차 부양책은 지원 기간 연장과 과거 부양책에서 소외된 이들에 대한 지원안인 것으로 보인다고 WSJ은 보도했다. 세수 부족에 시달리는 주 정부 예산 확충 내용도 포함될 예정이다.
앞서 미국 정부는 코로나19에 대응해 1차와 2차 부양책에 각각 83억 달러, 1000억 달러를 배정했다. 2조 달러 규모의 3차 부양책까지 합하면 지금까지 미국 정부의 부양 규모는 총 2조2000억 달러에 달한다.
정부 부양책과 더불어 연준도 추가 정책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CNBC는 29일 금융시장이 추가로 악화된다면 연준이 증권시장에 과감히 개입할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방송은 연준법(Federal Reserve Act)의 긴급 조항을 통해 재무부로부터 확대된 권한을 부여받았다면서, 상장지수펀드(ETF) 매입을 통한 시장 안정책도 불가능한 일은 아니라고 분석했다.
BNY멜론자산운용의 빈센트 라인하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CNBC에 "일본은행은 이미 ETF 매입 방식을 택했다"면서 "연준도 주식 거래를 배제하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지난 26일 NBC '투데이 쇼' 인터뷰에서 "경제를 지원하기 위한 다른 차원의 정책 여력이 여전히 있다"고 말한 점도 추가 대책에 관한 시장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미국 헤지펀드 롱테일알파의 비니어 반살리 최고투자책임자(CIO)는 포브스 기고문에서 "연준은 마이너스 금리로 갈 수밖에 없다"면서 "파월 의장이 '다른 차원의 정책 여력'을 언급한 것은 마이너스 금리 정책 실행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