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24일 “1차 비상경제회의에서 결정한 50조원 금융 조치를 대폭 확대해 100조원 규모의 기업구호 긴급자금 투입 결정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제2차 비상경제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충격으로 기업이 도산하는 일은 반드시 막겠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경제 충격이 예상보다 크자, 지난 19일 제1차 비상경제회의에서 결정한 자금 투입 규모를 두 배로 늘린 것이다.
특히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의 경영지원 자금을 대폭 지원하고 신용경색이 우려되는 회사채 시장의 안정 유지와 불안정한 주식시장에 대처하는 대규모 금융지원 조치를 담았다.
문 대통령은 “세계 경제가 위기이고, 끝이 언제인지 가늠하기가 어렵다”면서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가 받는 타격이 매우 크다. 생산과 투자의 주체로서 우리 경제의 근간인 기업이 큰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우리 기업에 들이닥친 거대한 위기의 파고를 막는 든든한 방파제 역할을 하겠다”면서 “정상적이고 경쟁력 있는 기업이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 때문에 문을 닫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넘어서 주력산업의 기업까지 확대하고 비우량기업과 우량기업 모두를 포함해 촘촘하게 지원하는 긴급 자금”이라며 “우리 기업을 지켜내기 위한 특단의 선제조치임과 동시에 기업을 살려 국민들의 일자리를 지키는 일”이라고 역설했다.
먼저 문 대통령은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29조1000억원 규모의 경영자금을 추가 지원해 기업의 자금난에 숨통을 틔우겠다”면서 “고정공급을 7조9000억원으로 확대하고, 정책금융기관의 대출 지원을 21조2000억원 추가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채권시장 안정펀드를 20조원 규모로 편성, 견실한 기업이 금융시장의 불안 때문에 겪는 일시적 자금난을 해소하겠다”면서 “회사채 물론 기업어음도 개입해 단기자금 수요도 뒷받침하고 애초 10조원 규모로 준비한 것에 10조원을 추가해 규모를 두 배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유동성에 어려움 처한 기업에 대해서 17조8000억원 규모의 자금을 별도로 제공할 것”이라며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 회사채 신속인수제도 등으로 회사채 인수를 적극 지원하고 단기자금 시장에도 유동성을 충분히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는 당초 6조7000억원에서 11조1000억원이 늘어난 자금이다.
정부는 10조7000억원 규모의 증권시장 안정펀드도 가동한다. 문 대통령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의 5000억원에서 규모가 20배 늘었고, 금융기관의 참여도 대폭 확대됐다”면서 “개별종목이 아니라 지수에 투자함으로써 투자자 보호와 증시 안정판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와 함께 정부에 별도의 고용지원 대책 마련도 당부했다. 그러면서 4대 보험료와 전기료 등 공과금 유예 또는 면제에 대해서도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개인에게는 생계지원이면서도 기업에게는 비용 절감으로 고용 유지를 돕고자 하는 것”이라며 “어려운 기업들과 국민께 힘이 될 수 있도록 오늘 회의에서 신속히 매듭을 짓고, 3차 회의에서는 실효성 있는 생계지원 방안을 준비해달라”고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제2차 비상경제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충격으로 기업이 도산하는 일은 반드시 막겠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경제 충격이 예상보다 크자, 지난 19일 제1차 비상경제회의에서 결정한 자금 투입 규모를 두 배로 늘린 것이다.
특히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의 경영지원 자금을 대폭 지원하고 신용경색이 우려되는 회사채 시장의 안정 유지와 불안정한 주식시장에 대처하는 대규모 금융지원 조치를 담았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우리 기업에 들이닥친 거대한 위기의 파고를 막는 든든한 방파제 역할을 하겠다”면서 “정상적이고 경쟁력 있는 기업이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 때문에 문을 닫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넘어서 주력산업의 기업까지 확대하고 비우량기업과 우량기업 모두를 포함해 촘촘하게 지원하는 긴급 자금”이라며 “우리 기업을 지켜내기 위한 특단의 선제조치임과 동시에 기업을 살려 국민들의 일자리를 지키는 일”이라고 역설했다.
먼저 문 대통령은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에 29조1000억원 규모의 경영자금을 추가 지원해 기업의 자금난에 숨통을 틔우겠다”면서 “고정공급을 7조9000억원으로 확대하고, 정책금융기관의 대출 지원을 21조2000억원 추가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채권시장 안정펀드를 20조원 규모로 편성, 견실한 기업이 금융시장의 불안 때문에 겪는 일시적 자금난을 해소하겠다”면서 “회사채 물론 기업어음도 개입해 단기자금 수요도 뒷받침하고 애초 10조원 규모로 준비한 것에 10조원을 추가해 규모를 두 배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유동성에 어려움 처한 기업에 대해서 17조8000억원 규모의 자금을 별도로 제공할 것”이라며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 회사채 신속인수제도 등으로 회사채 인수를 적극 지원하고 단기자금 시장에도 유동성을 충분히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는 당초 6조7000억원에서 11조1000억원이 늘어난 자금이다.
정부는 10조7000억원 규모의 증권시장 안정펀드도 가동한다. 문 대통령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의 5000억원에서 규모가 20배 늘었고, 금융기관의 참여도 대폭 확대됐다”면서 “개별종목이 아니라 지수에 투자함으로써 투자자 보호와 증시 안정판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와 함께 정부에 별도의 고용지원 대책 마련도 당부했다. 그러면서 4대 보험료와 전기료 등 공과금 유예 또는 면제에 대해서도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개인에게는 생계지원이면서도 기업에게는 비용 절감으로 고용 유지를 돕고자 하는 것”이라며 “어려운 기업들과 국민께 힘이 될 수 있도록 오늘 회의에서 신속히 매듭을 짓고, 3차 회의에서는 실효성 있는 생계지원 방안을 준비해달라”고 지시했다.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청와대에서 코로나19 관련 2차 비상경제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3/24/20200324112512477678.jpg)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청와대에서 코로나19 관련 2차 비상경제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