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축 심리 만성화] 지표 좋아지는데 경기회복 체감 못하는 이유, 반도체 때문?

2020-01-21 08:00
  • 글자크기 설정

우리나라 수출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반도체가 살아나면서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끌어올릴 전망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경기 흐름이 어두울 것으로 예측했다. 결국, 경기주체가 성장률 반등을 체감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외 업종이 살아나야 한다는 지적이다.

20일 '세계 경제정책 불확실성 지수' 홈페이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한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 지수는 239.36으로 작년 5월(230.15) 이후 최저로 떨어졌다.
이 지수는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는 등 미·중 무역갈등이 극에 달했던 지난해 8월 538.18까지 치솟았다. 이후 미국과 중국이 1단계 무역합의에 나서고, 수출규제 리스크도 줄면서 미중 갈등에 불이 붙기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가계와 기업이 반등을 체감하기는 힘든 상황이다. 주력산업인 반도체 반등 외 다른 산업군에서 이렇다할 회복 조짐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2200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1분기 경기전망지수는 75로 집계됐다. 지난해 4분기보다 3포인트 상승했지만, 여전히 경기가 지난 분기보다 부정적일 것이라고 보는 기업들이 더 많았다.

경기전망지수가 100 이하면 분기 경기를 전 분기보다 부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이고, 100 이상이면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올해 전체 경제 흐름에 대한 전망도 밝지 않았다. 작년과 비슷할 것이라는 예측이 절반(49.3%)에 달했고, 더 나빠질 것이라는 답변도 40.7%였다. 작년보다 호전할 것이라는 답변은 10%에 그쳤다.

이에 따라 기업들의 새해 투자가 움츠러들 전망이다. 새해 사업 운용을 '보수적'으로 할 계획이라는 기업이 72.2%로, 공격적으로 하겠다는 기업(27.8%)을 크게 앞섰다.

지역별 체감경기는 기준치인 100을 기록한 세종을 제외한 전 지역이 기준치를 밑돌았다. 자동차·부품, 기계 등 주력 업종이 밀집한 대구(64)와 경북(65), 경남(66)이 가장 부진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반도체 산업 종사자 외 업종과 일반 가계가 회복세를 느끼려면 지나친 '반도체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며 "반도체가 우리 경제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쏠림 현상은 착시 경제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