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구동존이(求同存異)’로 동북아 평화·번영 시대를 밝히자

2019-12-24 18:22
  • 글자크기 설정
2019년 12월 24일, 한·중·일 3국 정상이 중국 청두(成都)에서 만났다. 마치 크리스마스의 기적처럼.

북한이 제시한 ‘연말 시한’을 목전에 두고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데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한국 배치를 둘러싼 한·중 갈등,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문제로 확전된 한·일 간 수출규제 갈등 등 한·중·일 간 난마처럼 얽힌 현안이 산적한 가운데 이뤄진 3국 정상의 만남이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일본 오사카에 이어 중국 청두로 세계의 이목이 일제히 쏠린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청두 국제공항에서부터 시내 중심까지 가는 도로 양쪽에는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를 축하하는 3국 국기가 내걸렸다. 한·중·일 3국의 정부 관계자, 기업인, 취재진들이 속속 청두 행사장과 숙소에 도착했다.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 동북아 경제 협력과 번영의 분수령이 될 3국 정상 간의 ‘크리스마스 외교전’이 마침내 막이 오른 것이다.

첫 시작은 한·중·일 비즈니스 서밋 행사. 한·중·일 3국 경제계 인사들이 한자리에 모여 동북아 경제 번영을 논의하는 자리다. 2009년부터 한·중·일 정상회의를 계기로 매년 개최됐으며, 올해가 일곱 번째 행사다. 이날 행사장에는 아주경제가 발행한 한·중·일 정상회의 기념 특별판이 배포됐다. 한·중·일 3국 정부 관계자, 기업인, 취재진들은 저마다 신문을 받아들고 큰 관심과 호응을 나타냈다. 한 중국 기업인은 신문을 가리키며 엄지손가락을 치켜 올리더니 ‘하오! 하오!(好! 好!·좋다)’를 연발했다.

이번 특별판 1면에는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세 지도자가 서로 악수를 나누는 사진이 크게 실렸다. 사진 제목은 ‘삼인행필유아사(三人行必有亞史)’이다. 세 사람이 가는 길에 반드시 아시아 역사가 만들어진다는 뜻이다.

시 주석과 문 대통령은 1953년생(67세) 동갑이고, 아베 총리는 1954년생으로 한 살 어리다. 시 주석이 듬직하게 앞장서고, ‘중재자’인 문 대통령이 세심하게 균형을 맞추고, 막내인 아베 총리가 수레의 뒷바퀴를 밀어올리는 모습을 떠올려본다. 이 얼마나 절묘한 조화인가.

한반도의 운명은 백척간두에 서 있다. 북·미 대화가 중단되고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북한은 노동당 전원회의를 거쳐 협상 중단 선언이나 ‘핵실험 및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유예’ 취소 등 고강도 메시지를 발신한 뒤 행동 수위를 높여갈 가능성이 있다. 중국이 북한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후견국임을 고려하면, 이번 한·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북한을 상대로 도발 자제 유도와 같은 역할에 나설지 주목된다.

남과 북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핵 없는 한반도'를 실현한다는 공동의 목표를 합의문에 담아냈고, 종전 선언과 평화협정 체결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추진한다는 약속도 명문화했다. 남북 정상이 이를 추진하겠다는 의지가 변치 않았다면, 이 약속은 여전히 유효하다. 남은 과제는 주요 우방국과 국제기구, 국제사회에 이해와 협력을 구하고 우호적인 정세를 조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선 중국·일본과 전략적으로 협력 관계를 공고히 할 필요가 있다.

북한이 핵을 버리고 경제건설에 나서겠다는 메시지를 확실히 할 경우, 대북제재 완화의 길을 함께 여는 동시에 일본에는 북한과의 수교 수립 등 북·일 관계 정상화 카드로 한반도 평화 협력을 요청해야 한다. 또한 한·중·일 3국 간에 진행하고 있는 교육·문화·인적 교류 등 분야별 협력사업에 북한도 참가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 줄 필요가 있다. 북한이 참가하게 된다면 한반도 평화체제와 동북아 협력체가 연계되는 결과를 낳아 북한에는 한·중·일 정상회의가 국제적 재보장 장치가 될 수 있다.

‘구동존이(求同存異)’는 서로 다른 점은 인정하면서 공동의 이익을 추구한다는 뜻이다. 동북아 안보 당사국인 한·중·일+북한, 이들 4국이 지향해야 할 길이라고 제안하고 싶다. 그리고 여기에는 인도적 형제애가 바탕이 돼야 한다. 한·중·일 3국은 수천년 동안 이웃으로 지내오며 협력과 갈등, 애증의 관계를 유지해왔다. 2009년 중국 쓰촨성 대지진,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등 국가적 재난이 닥쳤을 때 한국은 현지에 소방대원과 의료진을 보내 이들 국민을 돕고, 위로금을 전달하며 마음을 나눴다.

아울러 한·중·일과 북한은 동북아 번영의 공동 운명체임을 다시금 각인할 필요가 있다. 특히 문 대통령이 제안한 동아시아철도공동체 구상과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실현은 동북아 번영의 큰 토대가 될 것이다.

문 대통령은 23일 청두에서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에게 두보의 시 한 구절을 건넸다, ‘호우지시절(好雨知時節)‘. 좋은 비는 시절을 알아, 봄이 오면 만물을 적신다는 뜻이다. 이번 ’크리스마스 한·중·일 정상회의‘가 평화와 번영의 동북아를 적시는 ’좋은 비‘가 되길 기대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쓰촨성 청두 세기성 국제회의센터에서 공동 언론발표 후 리커창 중국 총리와 대화 하고 있다. 왼쪽부터 문재인 대통령, 리커창 중국 총리, 아베 일본 총리.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