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11일 “인사에 대해 각종 추정 기사들이 나오고 있다. 어느 것 하나 다 맞지도 않고 그렇다”며 “정해진 것이 완전히 있으면 이 부분은 틀리다고 할 수 있는데 (그렇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모든 인사가 다 그렇다. 최종단계까지 가봐야한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이 최종적으로 결심하기 전까진 어떤 설도 확인할 수 없다는 의미다.
다만 김진표 의원이 지난 주말 청와대 고위관계자에게 고사하겠다는 뜻을 전달, 정세균 전 의장이 지명되거나 이낙연 총리가 유임될 가능성이 높아진 상태다.
민주노총, 참여연대, 경실련 등 여권에 우호적인 시민세력들이 김 의원의 임명을 반대하고, 한국당이 인사청문회를 지연시킬 것이 예상되기 때문에 총선 악영향이 우려된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본인의 명예보다 문재인 정부에 누가 되는 걸 원치 않았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복수로 검증을 하는 것보다 단수 검증에 집중하는 게 낫지 않겠느냐”고도 했다.
정세균 전 의장은 여러 차례 총리 후보군에 올랐지만, 입법부 수장을 지낸 만큼 ‘격(格)’에 맞지 않다는 지적과 자신 역시 총선 출마에 강한 의지를 보이면서 낙점 가능성이 낮게 점쳐졌다. 하지만, 최근 여론 분위기가 바뀌면서 총리직 수락 쪽으로 입장을 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무현 정부 산업자원부 장관을 지낸 정 전 의장은 집권 중반기 '경제총리' 콘셉트에 부합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또 국회의장을 거친 만큼 여야 협치를 주도할 적임자라는 평가도 있다.
일각에서는 정 전 의장이 이 총리의 후임으로 중용되고 이 총리는 정 전 의장의 지역구인 종로로 옮기는 맞트레이드가 이뤄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의 최종 결단이 남은 만큼 아직은 지켜봐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일각에서는 이낙연 총리의 유임설도 나온다. 이 총리가 직접 사의를 밝힌 바 없고, 당에서도 차출을 요구하지 않았다. 이 총리의 총선 역할론이 제기되지만, 인사청문회에 대한 부담이 상당한 만큼 총선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 총리가 내년 총선 지역구에 출마하기 위해선 오는 1월 16일, 비례대표 후보로 나오기 위해선 3월 16일까지 사퇴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