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괴적 혁신 이끄는 플랫폼 기업의 특징 5가지는?

2019-11-26 17:45
  • 글자크기 설정
기업들은 대체적으로 '플랫폼 기업'이라 불리길 희망합니다. 한국에선 네이버, 카카오, 해외에선 구글, 아마존 등 몸집이 큰 IT 기업들이 플랫폼 기업이라 불리고 있습니다.

이들 기업은 인터넷 검색 엔진을 시작으로 콘텐츠와 스트리밍 서비스, 핀테크 등 모든 산업 분야로 영역을 확장하면서 이용자들이 자사의 서비스만 이용하게 만들죠.

 

구글 로고[사진=DPA연합뉴스]

플랫폼이라는 단어는 기차에 탑승하는 플랫폼 공간에서 유래됐는데, 플랫폼 기업은 다른 뜻으로 사용됩니다. 산업에서 말하는 플랫폼은 '다수의 생산자와 소비자가 연결돼 상호 작용하며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과 산업 생태계'를 뜻합니다. 플랫폼 기업이 된다는 건 하나의 산업 생태계를 만든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이용자들이 그 생태계에서 생산자와 소비자의 역할을 번갈아 가며 시간과 돈을 소비합니다. 사업을 확장하고 열정적인 소비자를 만들 수 있는 최적의 환경입니다. 그래서 많은 기업은 플랫폼 기업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데요.

플랫폼 기업에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요? 삼정 KPMG 연구소가 지난 21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링크드인, 페이스북, 트위터 등 다양한 서비스에서 플랫폼 기업이 등장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비즈니스 경계 파괴

플랫폼에서는 산업의 경계가 모호해지며 비즈니스 간 융합과 사업 확장과 다변화 현상이 나타납니다. 카카오가 카카오뱅크로 은행업에 진출하고 네이버가 네이버페이로 금융결제 서비스를 시작한 게 하나의 사례인데요.

중국의 알리바바도 전자상거래로 사업을 시작해 핀테크, 동영상 스트리밍 등 여러 분야로 사업을 확장했습니다. 점차 B2B(기업간 거래) 영역의 서비스가 플랫폼화되면서 법률, 회계, 보험, 인사, 세금 등의 전문적인 서비스도 패키지, 또는 원스톱 형태로 플랫폼에서 점차 제공되고 있습니다.

생태계 기반

플랫폼은 생태계를 바탕으로 합니다. 생태계에 참여하는 기업은 공급자와 수요자, 광고 기업 등 다면 플랫폼의 주요 구성원을 포함합니다. 더 넓게 보면 하드웨어 제조사나 플랫폼에 기술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사도 포함됩니다.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구성원들의 활발한 활동에서 만들어지는 가치가 생태계 활성화를 결정합니다. 가령 유튜브 같은 경우에는 창작자들이 얼마나 활발하게 영상 콘텐츠를 만드냐에 따라 유튜브 사용자 수와 사용 시간이 결정됩니다. 플랫폼 생태계의 성패는 참여자에게 얼마나 많은 효용과 가치, 수익을 제공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유튜브 같은 경우 영상 콘텐츠를 공개하면 광고 수익을 창작자들에게 제공해 유튜브를 성공적인 플랫폼으로 이끌었습니다.

네트워크 효과

플랫폼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네트워크 효과입니다. 플랫폼 비즈니스는 공급자(생산자)와 사용자(소비자)로 구성되는 다수의 참여자가 공통의 플랫폼을 공유해 참여자들 간의 상호작용 때문에 가치가 만들어집니다.

참여자가 많아질수록 1인당 거래와 운영 비용이 절감됩니다. 참여자들 간 연결과 상호작용이 활성화돼 효용은 높아집니다. 이러한 구조와 특징을 플랫폼의 네트워크 효과라고 말합니다.

네트워크 효과에는 직접 네트워크 효과와 간접 네트워크 효과가 있습니다. 직접 네트워크 효과는 주로 이용자(유저) 측면에서 일어납니다. 예를 들면 페이스북 유저가 늘어날수록 보다 많은 사람과 소통할 수 있는 가능성이 더 커지기 때문에, 신규 가입자가 더욱 증가하며 기존 가입자도 페이스북을 떠나기 힘들어지게 됩니다.

간접 네트워크 효과에서는 공급자(기업)와 이용자(유저) 중 한쪽에서의 참여자 증가가 다른 쪽 참여자의 효용성을 증대시킵니다. 가령 페이스북 유저가 늘어나면 광고 플랫폼으로서 페이스북의 매력도가 높아지고 더 많은 기업이 페이스북에 광고주로 참여하게 되는데 이런 효과가 간접 네트워크 교화입니다.
 

소수의 플랫폼 기업이 시장에서 독보적인 존재로 성장한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승자독식 수익 구조

플랫폼 생태계는 성장할수록 기존 이용자가 이탈하지 못하는 락인(Lock-in) 현상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플랫폼 비즈니스는 초기에 이용자를 임계점까지 확보하는 것이 플랫폼 사업의 성패를 좌우합니다. 기업은 플랫폼의 이용자를 확보하기 위해 초기에 적자를 감수하면서 무료나 매우 적은 비용으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적자를 버티며 규모를 키우는 것이 플랫폼 기업의 생존 전략입니다.

플랫폼 서비스는 네트워크 효과로 참여자가 많은 플랫폼에 이용자가 더욱 몰리는 경향을 보입니다. 결국 임계점을 넘는 이용자를 보유한 소수의 플랫폼만 수익화를 성공해 시장에서 독보적인 존재로 성장합니다.

◆양면(다면) 시장 구조

플랫폼은 대부분 양면 시장 또는 다면 시장 구조가 특징입니다. 양면 플랫폼은 2개 혹은 2개 이상의 고객 집단이나 참가자 집단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으로 가치를 창출하는 기술이나 서비스를 말합니다.

주로 구매자, 판매자, 광고주로 이뤄진 3면 플랫폼이 일반적이고 구매자, 판매자로 구성된 2면 플랫폼과 제4의 주체가 참여하는 4면 플랫폼도 존재합니다. 양면 구조에 따라 플랫폼의 수익 모델도 결정됩니다.

가령 소셜네트워크 구인/구직 서비스인 링크드인은 채용기업(담당자), 이용자(구직자), 광고주를 연결하는 3면 플랫폼이며, 이들에게 각각 채용 솔루션, 프리미엄 구독 서비스, 광고 솔루션을 제공해 매출을 올리는 수익 구조입니다.

이처럼 플랫폼에 참가자 집단의 수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플랫폼 운영 방식과 수익 모델이 달라집니다. 플랫폼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각 집단의 수익과 효용성을 적절하게 분배하고 한쪽의 가치가 극단적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지 않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