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의 발견]카르티에 브레송 '결정적 순간'과 결정적 비밀

2019-11-11 16:39
  • 글자크기 설정
프랑스 사진작가 카르티에 브레송은 1952년 '결정적 순간'이란 제목의 사진집을 냈고, 이 말은 사진에 관한 한 가장 유명한 표현이 됐다. 그는 왜 자신의 사진에 대해 이런 제목을 붙였을까. 자신이 사진을 촬영한 그 장면과 그 순간을 감히 결정적 순간이라고 말할 만한 근거가 있는 걸까. 그는 이렇게 설명했다. "카메라 렌즈가 맺는 이미지는 끊임없이 움직인다. 그러나 그것이 시간을 초월한 형태와 표정과 내용의 조화로움에 도달하는 순간이 있다. 이를테면 우연히 만난 완전한 절정의 순간을 잡아내는 것. 그것이 사진이 지닌 예술성의 핵심이다."

이 말은 멋있기는 하지만 수수께끼 투성이다. 사진가에게는 이런 우연이 많이 찾아오는가. 사진가의 감은 이런 우연을 포착하는 능력이 유난히 더 있는데서 발생하는가. 브레송은, 자신의 렌즈가 잡아낸 이미지들이 다른 사람들의 장면보다 더 결정적인 순간이라고 생각하는가. 그것이 왜 결정적 순간인가. 이 문제에는 이견이 없는가. 그가 생각하는 결정적 순간에는, 우연을 해석하는 작위적인 냄새는 없는가.
 

[브레송의 '생 라자르 역 뒤에서, 파리 1932']

 
브레송의 '결정적 순간'의 미학을 대표하는 작품은, '생 라자르 역 뒤에서, 파리 1932'라고 할 수 있다. 유로크레온 생 라자르 역의 뒤쪽 울타리의 틈을 통해, 고인 물 위를 뛰어가는 한 남자를 포착한 이 사진은 그가 붙잡은 결정적 순간의 놀라운 이미지 구성을 보여준다. 모자를 쓴 남자는 물이 고인 광장 한켠에 눕혀놓은 사다리를 걸어나와 물에 젖지 않기 위해 뛰어 나가고 있다. 이 남자의 아래에는 물에 비친 그의 그림자가 비교적 선명하게 같은 동작을 취하고 있다. 이 사진이 눈길을 끈 것은 이 남자의 뒤쪽 그러니까 왼쪽 상단에 있는 철책에 걸린 포스트 그림 속의 무희로 보이는 여인이 남자가 달리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무엇인가를 뛰어넘는 듯한 포즈를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인의 이미지는 동일한 동작으로 뒤에 한번 더 보이고 있을 뿐 아니라, 남자와 같이 물 속에 두 개의 반영이 비쳐 네 개의 동일한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있다. 무희 포스터 옆에 있는 레일로스키(Railowsky)는 사진 전문 책을 내는 서점이다. 이 사진은 이 외에도, 하진 정중간 상단에 서 있는 사람과 물에 비친 이미지, 기하학적인 철책의 선들과 그것을 비춘 물 속의 이미지, 또다른 철책의 현수막들이 비친 물 속의 이미지들이 서로 묘하게 조응하고 있고, 물에 놓인 원형의 철선이 두번 감긴 원형과 철선 반원이 반대로 놓인 모습도 서로를 의식하는 듯한 느낌을 준다. 뿐만 아니라 하늘과 물에 비친 하늘 사이에 있는 건물의 기하학적 이미지들이 상쾌한 구도를 이루며 중심을 잡아주는 것도 눈에 띈다.

이 모든 것을 브레송이 기획하거나 연출하였을 리는 없고, 이 순간을 만나기 위한 계획을 세웠을 가능성도 없어 보인다. 다만 어느 순간에 그는 이 이미지 앞에 렌즈를 댔고, 다시는 오지 않을 수도 있는 찰나를 카메라 속에 담을 수 있었을 것이다. 이 결정적 이미지 한 컷은, 그것보다 덜 결정적인 수천만 컷, 아니 그보다 더 많은 수의 컷들 중에서 붙잡아낸 것인 만큼 가치가 있다. 그러나, 그것은 사진 작가가 본 결정적 순간이며 하나의 이미지에서 기대하는 인간 본능의 균형감이나 대칭감 같은 것을 포착한 것일 뿐이며, 인간의 미감에서 조금 비켜나서 보면, 그 가치는 도무지 왜 가치있는 것인지 밝힐 도리가 없다.

결정적 순간은, 브레송의 순간적 결정이 낳은, 어느 시간의 한 켜가 지닌 아름다움이다. 무상(無常)이라는 말은, 세상의 어느 풍경도 어느 시간도 한번 이외엔 만날 수 없으며 가차없이 우린 그것을 지나가야 한다는 엄혹한 진실을 담고 있는 말이다. 결정적 순간에 대한 우리의 감탄이나 환호는, 우리 모두가 일상적으로 지나치고 있는 그 수많은 시간의 찰나적 가치에 대해, 그 빛나는 아름다움과 영원히 기념할 만한 무엇에 대해 깊이 갈증하기 때문에 튀어나오는 것이 아닌가를 생각해보는 것이다. 오후의 한때, 창밖을 무심히 바라본다. 

                                               이상국 논설실장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