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는 기존 영어식 표기인 코레일(KORAIL)'을 대신할 새로운 한글 약칭 '한국철도(코레일)'에 대한 대국민 제안을 시행한다고 8일 밝혔다.
새로운 약칭 제정은 최근 국민적 한글 사용 추세를 반영하고, 공기업으로서 한글 사랑에 앞장서기 위해 추진됐다. 공사는 한글 약칭이 국민 누구나 부르기 쉽고 전달력이 좋아 기업의 정인지율도 높일 것으로 기대했다.
공사는 그동안 공식 문서·법령·계약서 등에 사용하는 법인명은 '한국철도공사'로, 홈페이지·고객 안내문·보도자료 등의 커뮤니케이션명은 '코레일(KORAIL)'로 나눠 사용해 왔다.
그러나 한국철도공사, 코레일(KORAIL), 철도공사 등 다수의 명칭이 사용돼 이용객 혼란과 기업 이미지 통일에 어려움이 있었다는 게 공사 측 설명이다.
새로운 한글 약칭은 앞으로 브랜드 전문가 자문, 내외부 설문 및 여론조사 등을 거치게 된다. 이를 통해 내부 기업명칭 사용기준을 제정, 최종 사용할 예정이다.
공사는 또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할 예정인 동력분산식(EMU) 차세대고속열차의 명칭도 우리말 이름으로 붙일 계획이다. EMU-320, EMU-250, EMU-150에 대한 우리말 이름 공모는 내년 초 진행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그동안 추진해온 철도용어 순화작업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 공사는 지난해 9월부터 어려운 철도분야 전문 및 업무 용어 등에 대해 전수조사를 실시해왔다. 현재까지 약 7000개의 용어와 문구를 순화했다.
일제의 잔재가 남아있는 한자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거나, 적절한 한자어로 대체한 것. 업무 용어도 철도 직원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특히 1999년 말부터 대합실→'맞이방', 승강장→'타는곳' 등 일본식 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기 시작한데 이어 이번에 침목(枕木)→'받침목', 구배(勾配)→'경사' 등 일본어식 표기를 정비했다. 착선대→'도착선 대기', 타절→'도중운행 중지', 기외정차→'정거장 밖 정차', 선착→'먼저 도착' 등 업무 용어의 순화 작업도 마쳤다.
공사는 순화된 한글 사용과 정착을 위해 별도의 한글화 전담조직을 운영하고, 국민 의견을 꾸준히 수렴할 계획이다.
손병석 공사 사장은 "진정한 국민의 철도가 되기 위해서는 누구나 친숙하고 부르기 쉬운 이름을 갖는 게 중요하다"며 "공기업으로서 우리말 사랑에 앞장서고 모범을 보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