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영선 한국개발연구원(KDI) 선임연구위원은 30일 이 같은 내용의 '임금격차는 어떻게, 왜 변해 왔는가'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임금 불평등은 1기(1980~1994년) 중 하락했고, 2기(1995~2007년) 중 상승했다. 뒤이어 3기(2008~2016년) 중에는 다시 하락세를 보였다.
1기에는 고졸 노동수요가 급증하면서 대졸 임금 프리미엄이 하락했다. 반면 2기에는 대졸 노동수요가 급증하면서 대졸 임금 프리미엄이 상승했다. 3기에는 대졸 수요 변화가 뚜렷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대졸 노동공급이 지속되면서 대졸 임금 프리미엄이 하락했다.
1기 고졸 노동수요 증가는 중화학공업에서 중간숙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결과로 판단된다는 게 KDI 측의 설명이다. 1970년대 육성정책에 힘입어 1980년대에 중화학공업이 본격 성장했다.
3기 고숙련 노동수요 정체는 숙련편향적 기술진보(skill-biased technical change:SBTC)의 둔화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미국의 임금 불평등 증가는 숙련편향적 기술진보가 그 원인이라는 데 대체로 의견이 일치한다.
KDI는 3기 중·상위 임금 정체는 저임금 계층을 위한 정책만으로 한계가 있다고 분석했다. 전반적으로 임금상승을 촉진하기 위해선 기술진보와 생산성 향상에 초점을 맞춘 다각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향후 혁신 촉진으로 고숙련 노동수요가 증가할 경우, 2기와 같이 분배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선 인력의 고숙련화가 요구된다.
KDI는 1990년대 목격된 대학교육의 질적 악화를 고려할 때, 대학교육이 양적 확대보다는 뒤처진 대학을 중심으로 질적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재분배의 강화와 함께 효과성을 제고할 필요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