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한국의 대동남아 소비재 수출 활성화 방안: 한중일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동남아 3국의 소비재 수입시장은 규모 및 수요 측면에서 아직 크지 않으나, 최근 5년의 연평균 성장률 및 소비재 수요 증가세를 세계시장과 비교해 본 결과 시장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품목별로 화장품·생활용품은 태국에서, 농수산물·패션의류·의약품은 베트남에서 수입시장 규모가 상대적으로 컸다. 동남아 3국의 수입시장에서 한·중·일 소비재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중국이 가장 높은 가운데, 우리나라는 베트남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유율을 기록했다. 특히 한국산 화장품의 경우 태국 및 베트남에서 시장점유율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연구를 통해 KIEP은 기존 소비재 수출 활성화정책의 실효성을 재점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보고서는 먼저 관계부처간 협의하에 인바운드(외국 관광객 국내 유치) 확대 등 관광정책과 연계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낮은 수준인 대아세안 자유무역협정(FTA) 활용률을 제고하기 위해 현재 동남아 3개국(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에 설치된 '한·아세안 FTA 활용지원센터'를 전체 아세안 회원국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외에도 농수산품 및 의약품의 교역을 크게 저해하는 무역기술장벽(TBT)과 위생검역조치(SPS) 등의 비관세조치는 정부 고위급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