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완의 국제레이더] 김용 세계은행 총재 사임 .. 트럼프 차기 총재 임명 쉽잖을 듯

2019-01-10 09:18
  • 글자크기 설정

김 총재 사임으로 세계은행 수장을 둘러싼 주요 국가들의 분열 가속화- WSJ

 

연설하는 김용 WB총재…"2월1일 사임…개도국 투자 기업에 합류" (발리[인도네시아] AP=연합뉴스) 2018년 10월14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김용(미국명 Jim Yong Kim) 세계은행(WB) 총재가 연설하는 모습. 김 총재는 7일(현지시간) 트위터 계정에 글을 올려 "2월 1일 세계은행 총재에서 물러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개발도상국 인프라 투자에 초점을 맞춘 민간 기업에 합류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59, Jim Yong Kim) 세계은행 총재가 지난 7일 (현지시간) 임기를 3년 5개월이나 남기고 사임을 발표했다. 그의 갑작스러운 사임을 두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불화설 등 갖가지 추측이 난무하고 있다. 세계은행의 최대 주주인 미국은 차기 총재 임명의 키를 쥐고 있다. 하지만 국제금융기구 수장 선출 관행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어 미국이 지명한 후보가 반드시 차기 총재에 오른다는 보장이 없는 상황이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세계은행 뿐 아니라 세계무역기구(WTO), 북대서양조약기구 (NATO) 등 국제기구에 대한 반감을 표출하며 여러 차례 탈퇴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국제 협력과 자유 무역을 주창하던 미국의 주도하에 만들어진 국제기구와 제도가 이젠 그들에게 불이익이 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세계은행은 1945년 전후 유럽 재건과 개발도상국 경제 개발을 위해 유엔 산하에 설립된 기구로 미국이 최대 주주이다. 회원국 총지분(투표권) 중 85% 이상 찬성해야 총재가 될 수 있는데, 미국은 16%를 보유하고 있어 거부권 행사가 가능하다. 그동안 세계은행 총재는 미국인이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유럽인이 어김없이 맡아왔다. 국제 민간 구호단체들은 미국과 유럽이 세계 금융 기구의 수장 자리를 '밀실 거래'하고 경제적 이익과  정치적인 영향력을 넓히려는 관행이 이젠 사라져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김용 총재 후임자로 자기 입맛에 맞는 인물을 내세울 가능성이 크다. 세계은행을 이용해 미국과 패권 경쟁에 돌입한 중국을 견제하고 싶은 욕심 때문이다. 미국은 이미 중국산 제품에 관세 폭탄과 지적 소유권 침해 고발 등 중국 때리기에 나서고 있다. 중국이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 해상 실크로드)를 내세워 아시아와 아프리카 유럽 등에 영향력을 넓히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 압력에 지난해 세계은행의 對중국 대출은 30% 가까이 줄었다. 

차기 총재 선임의 최종 결정은 189개 회원국 대표들로 구성된 세계은행 이사회의 몫이다. 만약 총재 지명권을  가진 트럼프가 대중 강경파 인물을 선택한다면 미.중 갈등에 새로운 변수가 생기고 회원국들의 우려도 커질 수 밖에 없다. 이미 보호 무역주의 확산과 글로벌 경기 둔화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신흥국들의 반발이 거세지면 임명은 불발 될 수 있다. 

이미 지난 2012년 한국계 미국인인 김용 총재가 선출될 당시부터 미국이 총재 임명권을 통해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증진 시키려는 의도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당시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추천한 김용 총재는 개도국들이 내세운 나이지리아 재무장관 및 콜롬비아 출신 교수와 경선을 벌인 바 있다. 미국이 지명한 후보자가 경쟁을 거친 건 세계은행 역사상 이 때가 처음이다.

라구람 라잔 전 인도준비은행 총재는 “국제기구들이 국제사회의 지지를 얻으려면 세계은행과 IMF 총재직을 미국과 유럽이 손에 쥐고 내놓지 않는 관행부터 바뀌어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이번에는 여러 사안들 탓에 회원국들이 트럼프 행정부가 지명한 총재 후보자를 지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며 "김 총재의 사임으로 세계은행 수장을 둘러싼 주요 국가들의 분열이 가속화할 수도 있다"라고 보도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파리 기후변화협약에서 탈퇴한 후 기후변화 대응 프로젝트를 강력히 지지하고 있는 다수의 회원국들과 미국의 갈등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동안 표면적으로 트럼프 행정부와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던 것으로 보였던 김용 총재의 중도 사퇴에 대해
각종 추측만 무성하다. 그가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적극 지원하고 석탄 전력 투자액을 크게 줄이는 등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마찰을 빚은 게 아니냐는 애기도 흘러나오고 있다. 

김 총재는 다음 달 1일  세계 각지의 인프라에 투자하는 민간 투자사인  ‘글로벌 인프라스트럭처 파트너스(GIP)’로 옮긴다.  그의 퇴진 후 불가리아 출신인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세계은행 최고경영자(CEO)가 임시로 총재 역할을 맡을 예정이다고 세계은행은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