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亞부동산 위기]"5채당 1채는 빈집"…경기둔화 中 부동산 거품 붕괴 경고음

2019-01-09 13:28
  • 글자크기 설정

넘쳐나는 미분양주택…투자심리 냉각

주춤하는 대도시 집값, 부동산업계 '디폴트' 급증

경제·금융 위기 초래 우려도

무역전쟁에 따른 중국발 경기 침체 우려가 아시아 부동산 시장을 강타했다. [사진=바이두]


무역전쟁에 따른 중국발 경기 침체 우려가 아시아 부동산 시장을 강타했다. 중국 본토는 물론 홍콩, 싱가포르, 호주 등 그동안 과열 양상을 보이던 아시아 각 지역 부동산 경기가 꺾일 조짐을 보이고 있다. 글로벌 경기 둔화로 소비가 위축되고 증시가 불안한 가운데, 실물자산 대표 격인 부동산 경기마저 꺾일 경우 글로벌 경기 하강을 가속화시킬 것으로 우려된다. 이에 더해 그동안 전 세계 집값을 올려놓았던 중국 투자 ‘큰손’들이 하나 둘씩 부동산 투자에서 발을 빼면서 아시아 부동산 시장 거품 붕괴 우려가 커졌다. 중국 대륙, 홍콩, 싱가포르, 호주 등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호황을 구가하던 주요국 부동산시장의 현황을 점검해 본다. <편집자주>

“현재 집값이 오를 만큼 올랐다. 집을 사지 마라."(톈궈리 중국 건설은행 행장)
“부동산은 중국 경제가 직면한 가장 큰 ‘회색코뿔소(충분히 예상할 수 있지만 쉽게 간과하는 위험 요인)’다.”(샹쑹쭤 중국 인민대 경제학자)

그동안 중국의 경제 성장을 떠받들었던 부동산 경기가 무역전쟁 등에 따른 경기 하방 압력 속에 급속히 위축되며 부동산 시장 거품이 붕괴될 수 있다는 경고음이 여기저기서 흘러나오고 있다. 수년간 부동산 경기 호황 속에 주택 건설 붐으로 중국 곳곳엔 미분양 주택이 넘쳐나지만 정작 투자 심리는 얼어붙었기 때문이다. 

중국 시난재경대가 최근 발표한 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중국 도시 지역의 미분양 주택 물량은 6500만개로, 2011년 4200만개에서 급증했다. 이에 따른 주택 미분양 비율도 2011년 18.4%에서 지난해 21.4%까지 치솟았다. 도시 지역 아파트 5가구 중 1가구는 ‘빈집’이라는 뜻이다. 

반면 부동산 소비는 오히려 줄고 있는 상황이다. 부동산 시장을 잡기 위해 중국 지도부가 '부동산 투기와의 전쟁'을 선포하며 강도 높은 부동산 규제 등을 도입한 데다가 경기 하방 압력까지 겹치며 소비 심리가 악화됐기 때문이다.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 분양주택 판매면적은 2017년 9월부터 사실상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로 돌아섰다. 국가통계국이 2015년 3월 중국 부동산 통계를 발표한 이래 분양주택 판매면적이 감소세를 보인 건 30개월 만에 처음이었다.

고공행진을 이어가던 집값 상승률도 한풀 꺾인 모습이다.  중국 국가통계국(NBS)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중국 70개 주요도시 신규 주택 가격 상승률이 전월 대비 0.9%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수치인 1.0%에서 후퇴한 것으로, 지난 9월부터 상승률은 둔화세를 이어가고 있다. 

부동산 경기 침체 속 자금난에 직면한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채권 디폴트(채무불이행)도 줄줄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중국 부동산 업계 상위 100대 기업 중 하나인 인이(銀億)그룹이 자금난에 3억 위안 규모의 채권 디폴트에 빠진 게 대표적이다.

중국 란징(藍鯨)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올 들어 10월까지 중훙(中弘), 신광(新光), 우저우궈지(五洲國際), 상링(上陵) 등 모두 6개 부동산 관련 기업에서 디폴트가 발생했다. 총 디폴트 액수만 107억 위안이 넘는다. 올 1분기 만기가 도래하는 역내외 부동산 채권 규모도 180억 달러로 사상 최대 규모인 만큼 향후 추가로 디폴트가 발생할 가능성도 높다.

이에 부동산 경기 침체가 중국 경제와 금융시장에 위기를 초래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부동산 산업은 중국 경제성장의 5분의1을 지탱하는 주축이다. 건설 경기, 가구, 제조업 등 연관산업까지 더하면 전체 경제성장의 3분의1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게다가 지방정부 재정수입, 은행 대출, 가계 대출, 가계 자산 등에서도 커다란 비중을 차지한다. 대도시 가구 자산의 85%가 부동산이라는 통계수치도 있다. 중국 정부가 마냥 부동산 규제 고삐를 죌 수만은 없는 이유다. 

실제로 무더기로 쏟아졌던 부동산 규제 발표가 지난해 말부터 뜸해졌다. 중위안부동산연구중심에 따르면 지난해 1~3분기 중국 전국적으로 내놓은 부동산 규제 건수는 400건에 달한 반면, 4분기엔 64건에 그쳤다.

일부 지방 도시를 중심으로 주택담보대출이나 주택 거래규제를 완화하는 등 부동산 규제 고삐가 풀릴 조짐도 보인다. 중국 21세기경제보에 따르면 지난달 말 산둥성 소도시 허쩌시를 시작으로 광둥성 광저우와 주하이, 산둥성 칭다오, 저장성 항저우 등이 잇달아 부동산 규제완화 대열에 합류했다.

이에 중국이 부동산 규제를 다시 풀어 과거처럼 부동산 경기를 부양해 경제를 살리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다만 중국 지도부는 일부 지방정부에 한해 현지 상황에 걸맞게 부동산 규제를 완화하도록 숨통을 터주고는 있지만 여전히 '주택은 거주용이지 투기용이 아니다'라는 기존의 방침을 고수하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2일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해외판은 칼럼에서 "각 지방정부는 도시화 진척 속도, 인구 유동성, 자원 배분 상황을 고려해 각 지역에 걸맞은 지주산업을 발전시키고 새로운 경제성장점을 찾아야 한다"며 "부동산 경기에 의존해 경제를 살리는 전례를 답습하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