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22일(현지시간) 연방정부 기능 일부가 마비되는 '셧다운' 사태에 빠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공화당이 멕시코 국경장벽 건설 비용을 놓고 정면대치하면서다. 예산 합의 불발로 돈줄이 끊기면서 연방정부의 25%가량이 기능을 잃게 됐다.
전문가들은 크리스마스 휴가시즌이라 당장은 큰 피해가 없겠지만, 사태가 장기화하면 후폭풍이 눈덩이처럼 커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이미 첩첩한 악재로 파란을 겪어온 글로벌 금융시장의 경계감도 커지는 분위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 19일 금리인상을 단행한 데 이어 셧다운 악재가 불거지면서 투자심리가 급격히 냉각됐다. 뉴욕증시 다우지수는 19일부터 전날까지 사흘간 1200포인트 넘게 추락했다. 주간 낙폭이 7%에 달해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2008년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그럼에도 셧다운 자체는 시장에 대단한 악재가 아니라고 지적한다. 셧다운이 지난 40년간 20번이나 발생했고 대개 큰 충격 없이 단기간에 끝났다는 이유에서다. 지미 카터 행정부(1977~81년) 시절에는 매년 평균 11일간의 셧다운이 있었을 정도다. 이번 셧다운도 지난 1월, 2월에 이어 올 들어 세 번째다.
USA투데이는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공화당을 통해 상원과 하원을 장악하고도 집권 2년 만에 벌써 세 번째 셧다운을 맞은 건 이례적이라고 지적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비정상적인 셧다운이 트럼프 행정부 들어 심해진 정치적 기능부전을 상징한다고 꼬집었다. 신문은 2020년 대선을 놓고 미국 정치권의 갈등이 더 고조될 수 있다며 이에 따른 금융시장의 불안도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셧다운에 따른 충격이 당장은 크지 않아도 일자리 감소에 따른 성장둔화 등 잠재적인 피해가 상당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인 2013년 10월 16일간 이어진 셧다운 탓에 미국 국내총생산(GDP)이 약 0.2% 이상 쪼그라들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추산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