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이 보복 관세 부과를 거듭하면서 무역전쟁 우려가 심화되고 있다. 뉴욕증시와 아시아증시 등 세계 증시의 주요 지수도 하락세를 보이면서 불안감을 반영하는 모습이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하반기 글로벌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역전쟁보다 기준금리 인상 쪽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인상할 때 고려하는 기준은 고용지표와 인플레이션이다. 실업률 하락, 임금 상승 압력 등 고용 환경 개선 가능성이 높아져서 경제지표가 완만한 수준으로 성장하면 금리를 인상해도 부담을 견딜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롤랜드 대표에 따르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앨런 그린스펀 전 의장(1987. 8. 11~2006. 1. 31), 벤 버냉키 전 의장(2006. 2. 1~2014. 1. 31), 재닛 옐런 전 의장(2014. 2. 3~2018. 2. 2) 등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즉 고용지표와 인플레이션 달성 목표를 근거로 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연준은 경제가 완만하게 성장하고 있다는 판단에 따라 올해 들어 벌써 두 번이나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많은 전문가들은 2018년 말까지 2차례 더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보고 있다. 2019년에도 몇 차례 기준금리 인상이 예고된 상태다. 현재 연준의 기준금리는 1.75~2.0% 수준이다.
이는 연준이 뚜렷한 경기 둔화 징후가 나타날 때까지 금리 인상 방침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과 소비자 입장에서는 주요 단기 금리가 꾸준히 상승할 경우 대출 부담이 높아진다. 장기적으로는 미국 기업의 매출과 이익 성장을 둔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장기 금리와의 격차도 문제가 될 수 있다. 현재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와 30년물 국채 금리는 각각 2.864%, 2.962% 수준을 보이고 있다. 기준 금리(2.0%)와의 격차가 크지 않다. 연준이 단기 금리는 점진적으로 인상하는 가운데 장기 금리가 오르지 않으면 격차가 더욱 좁아져 '수익률 곡선(Yield Curve)의 평탄화(Flattening)'가 일어날 수 있다고 CNN머니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