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호 태풍 ‘쁘라삐룬’ 북상에 전남 농작물 1221ha 침수

2018-07-01 16:17
  • 글자크기 설정

농식품부, 긴급대책회의 소집…비상근무 실시

지자체‧유관기관 협력해 피해 최소화 주문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1일 농식품부 소관 실국과 농촌진흥청‧농어촌공사‧농협중앙회 등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긴급대책회의를 소집해 태풍의 이동경로와 예상되는 피해‧대책 추진상황을 점검했다.[사진 = 농식품부 제공]

6년 만에 우리나라가 태풍의 직접 영향권에 들면서 전라남도에만 농작물 1221ha가 침수되는 피해가 발생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비상근부에 돌입, 유관기관에 농작물‧농림시설의 철저한 관리를 지시했다. 농업용 배수장 1055개소도 긴급가동체제에 돌입했다.

김현수 농식품부 차관은 1일 농식품부 소관 실국과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긴급대책회의를 소집해 태풍 이동경로와 예상되는 피해, 대책 추진상황을 점검했다.

기상청 예보에 따르면, 태풍 ‘쁘라삐룬’은 1일 현재 최대풍속 27㎧(시속 97㎞), 강풍반경 250㎞의 소형 태풍이다. 2일 저녁 제주도 동쪽을 지나 3일 9시 경 여수 인근으로 상륙해 경남‧북을 관통, 3일 저녁 울릉도 서쪽해상으로 빠져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에 직접 오는 태풍은 2016년 ‘차바’를 제외하고는 6년 만에 처음이다. 발생시기와 진행경로가 비슷했던 태풍 ‘라마순(2002년 7월5일)’과 ‘에위니아(2006년 7월9일)’는 농업분야에 큰 피해를 입혔다.

농식품부는 이번 태풍이 농작물 침수와 강풍에 의한 농림시설 등으로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실제 지난달 30일부터 이날까지 내린 비로 전남에만 벼 1021ha와 사료작물 200ha 등 농작물 1221ha가 침수된 것으로 파악됐다.

김 차관은 “작고 사소한 부분까지도 미리 점검하고, 지자체‧농어촌공사‧농협 등 유관기관과 적극 협력해 농작물 침수와 비닐하우스 등 시설물과 농업인 피해를 막기 위해 최선을 다해 달라”고 주문했다.

농식품부는 지난달 30일부터 농업재해대책상황실 비상근무를 실시하고, 지자체‧유관기관에 농작물‧농림시설 관리를 철저히 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또 농업경영체로 등록된 농업인들에게 호우‧태풍대비 농작물관리요령을 3회(51만명)에 걸처 SMS문자로 전송하고 방송3사‧종편‧지역민방 등 21개 방송사에 자막방송을 요청했다.

농작물 침수 피해에 대비해 전국의 농업용 배수장 1055개소의 가동상황을 점검하고 긴급가동체제에 돌입했다.

김 차관은 “2016년도 태풍 ‘차바‘를 제외하고, 최근 6년 동안 대규모 태풍이 한반도를 통과한 적이 없어 안이한 대처가 피해를 키울 수 있다”고 강조하고 “유관기관이 긴밀히 협력해 품목별‧시설별로 철저하게 대비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이어 “농업인들도 정부와 지자체가 긴급 문자 등으로 전달하는 기상정보와 재해대응요령에 주의를 기울여 달라”며 “농장과 주변 정리 등 태풍 대비에 만전을 기하고, 피해 발생 시에는 지역 읍면과 지역농협 등에 신속히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