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순차적 금리 인상에 한·미 금리역전차가 커지더라도, 한국이 금리를 추가 인상해서는 안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 연준이 향후 3% 이상 인상하는데에도 제동이 걸릴 것으로 예측된다는 게 그 이유다.
미국의 대표적 경제전문가인 손성원 캘리포니아주립대 석좌교수는 18일(현지시간) “2020년부터 미국 경제가 침체기로 접어들 가능성이 있다”며 “한국은행이 현재의 1.50%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는 게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지난 13일 연준은 기준금리를 기존 1.50~1.75%에서 1.75~2.00%로 올린 바 있다. 또 추후 2회가량 인상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렇다 보니 한·미 간 금리차가 0.50%포인트까지 벌어지면서 한국에서의 외국인 자본유출에 대한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자본 유출을 막기 위해 한은의 금리인상이 요구되는 분위기다.
이런 상황에서 손 교수는 한은의 금리 인상이 현 상황에 대한 올바른 처방이 아니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한국의 경제전망을 보고 장기투자(롱텀 머니)가 들어오기 때문에 기준금리 인상 여부는 한국의 경제상황을 고려해 결정해야 한다는 데 힘을 실었다.
손 교수는 “실제 금리차 때문에 유출되는 ‘핫머니’는 풍부한 외환보유고로 대응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2020년께 미국이 경제침체, 즉 '경제절벽'(economic cliff)에 직면할 수 있다”며 “미국의 막대한 재정적자와 연준의 금리인상 행보, 무역전쟁에 대한 우려를 키우는 미·중 무역갈등, 장단기 금리차가 줄어드는 '수익률 곡선 평탄화' 추세 등이 이유”라고 전했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지난해 감세와 관련, “기준금리 인상 요인의 발생 시점이 역사적으로 최악이었다”며 “트럼프 행정부가 대선이 있는 2020년 다시 추가 감세를 할 경우 미국 경제는 앞으로 더 엉망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로 인해 미 연준이 내년까지 3% 정도까지 금리를 올릴 뿐, 추가 인상은 경기침체 우려 때문에 어려울 것이라는 게 손 교수의 예측이다.
손 교수는 미·중 무역갈등에 대해 “전면적인 무역전쟁으로 치달을 가능성은 작으며, 현재 수준의 무역갈등이 미·중의 국내총생산(GDP)에 미치는 영향도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동맹국 등 글로벌 무역파트너에 대한 철강·알루미늄 관세폭탄 등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지적재산권 도용 등 부정행위를 해온 중국의 행동을 바꾸는 것은 장기적으로 공정무역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게 손 교수의 견해다.
손 교수는 이어 “북한의 개혁·개방 행보에서 베트남식 개혁·개방이 한국에는 가장 좋은 방안이 될 것”이라며 “갑작스러운 통일 역시 비용 부담이 커, 북한이 베트남식 개혁·개방의 길을 걸으면 최소 10년 이상 연 10% 이상의 경제성장을 달성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손 교수는 “북한이 글로벌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인권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라며 “그렇지 않으면 굴지의 글로벌 기업이 투자를 꺼릴 수밖에 없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