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亞 맥주소비 3위… 숙취해소 음료 시장은 ‘블루오션’

2018-05-29 21:25
  • 글자크기 설정

코트라, 주류 시장은 지속 성장세, 숙취해소제 시장은 개척 단계

베트남 다낭에 위치한 한 음식점 전경. [사진=양성모 기자]


베트남이 새로운 숙취해소제 시장으로 각광받고 있다.

29일 코트라에 따르면 지난해 베트남 현지 맥주 소비량은 전년대비 6% 증가한 40억 리터에 달한다. 특히 베트남 주류 소비자 1인의 연간 평균 맥주 소비량은 2012년 30리터를 소폭 웃돈 반면, 작년 소비량은 41리터에 달하는 등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맥주 소비량 기준으로는 동남아시아 국가 중 가장 많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일본과 한국에 이어 세 번째다. 실제로 베트남 내 식당을 가보면 얼음을 넣은 맥주를 즐기는 젊은이들을 자주 볼 수 있다.

코트라는 “현재 베트남 숙취해소제 시장은 개척‧개발 단계에 있다”면서 “베트남의 음주소비 변화와 음주문화 발전 속도는 숙취해소 제품 시장에서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현재 숙취해소 음료에 관련한 베트남 브랜드의 존재감이 매우 미약하다. 반대로 한국과 일본 브랜드 상품들이 베트남 숙취해소 음료 시장을 앞서 개척 중이다.

CJ 헬스케어의 컨디션(Condition) 상품을 단독 수입‧유통중인 한 회사는 2016년 10월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월별 5만 병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외에도 일본의 헤파라이스(Hepalyse W), 알코프리(AlcoFree) 등도 경쟁중이다.

코트라는 “아직은 숙취해소 상품이 현지 대중들에게 익숙하지 않다. 숙취해소라는 특정 문구가 오히려 소비자의 접근을 한정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면서 “비주류음료 소비자에게 친근하며 접근을 더욱 쉽게 유도할 수 있는 ‘간 기능 개선 도움, 해갈, 해독’ 등의 포괄적인 홍보 문구를 이용할 수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