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씨소프트가 추구하는 AI는?...'게임·스피치·비전·언어·지식' 5개 기술 역량 집중

2018-03-15 16:00
  • 글자크기 설정

이재준 엔씨소프트 AI센터장이 15일 판교 R&D센터에서 열린 'NC AI 미디어 토크(Media Talks)'에서 자사의 인공지능(AI) 연구개발(R&D)의 현황과 비전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신희강 기자@kpen ]


국내 게임업계에서 인공지능(AI)을 가장 먼저 도입한 엔씨소프트가 자사의 연구개발 현황과 비전을 공개했다. 향후 AI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IT 분야에서 혁신을 만들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다는 전략이다.

엔씨소프트는 15일 판교 R&D센터에서 'NC AI 미디어 토크(Media Talks)'를 열고, 2011년부터 자사가 진행한 연구 활동과 현황을 공유했다. 특히 △게임 △스피치 △비전 △언어 △지식 등 5가지 분야의 AI 기반 기술을 확보하고, 기술 중심의 혁신에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비전을 내비쳤다.
이재준 AI센터장은 "엔씨소프트의 AI는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 도구"라며 "연구 중인 AI 기술이 기존보다 더 나은 해결책을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새로운 가치와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엔씨소프트는 2011년 AI TF를 시작으로 2012년 AI랩, 2016년 AI센터로 확대했다. 2015년 AI랩 산하에 신설한 NLP팀은 2016년 AI센터 산하 NLP랩, 2017년 9월 NLP센터로 확대 개편됐다. 현재 AI센터(인공지능센터)와 NLP센터(자연어처리센터)를 주축으로 AI를 연구하고 있으며, 100여명의 전문 연구 인력이 근무 중이다.

김택진 대표 직속 조직에 속해있는 AI센터와 NLP센터는 산하에 5개랩(게임, 스피치, 비전, 언어, 지식)을 운영하고 있다. '랩(Lab)'은 '학습·연구·시도·실험·분석'을 통해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R&D를 수행하는 조직을 뜻한다. AI센터가 담당하는 '게임 AI랩'은 강화학습과 딥러닝, 시뮬레이션 기술 등을 기반으로 △게임 플레잉 △기획 △아트 개발 등에 필요한 AI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스피치랩'은 음성합성 기술을 연구하며 '비전 TF'는 이미지 및 비디오와 관련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NLP센터의 '언어 AI랩'에서는 사람의 언어로 정보를 주고 받는 응용 기술을 연구한다. 가령 야구 중계를 시청할 때 AI가 하이라이트를 자동으로 보여주고, 텍스트의 중요한 내용을 요약해서 알려줄 수 있다. '지식 AI랩'은 로그(log), 텍스트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 지식을 추론하고 전달하는 기술을 연구한다. 엔씨소프트는 이러한 기술을 활용해 사용자와 AI가 상호작용하는 정보 서비스에 적용할 계획이다.

장정선 NLP센터장은 "AI 기술로 사람과 AI가 자연스럽게 정보를 주고 받고 소통할 수 있다"며 "사용자가 관심 있어 할 만한 정보를 알려주고, 궁금한 걸 물어보면 답해주는 AI 친구를 만드는 것이 목표 중 하나"라고 말했다.
 
엔씨소프트는 향후에도 AI 전문 연구 인력을 육성하고,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그 첫 단추로 우수 인재 영입을 꼽고 서울대, 카이스트 등 국내 AI 분야의 연구실 12곳과 긴밀한 연구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자연어처리 분야의 국내 최고 권위자인 임해창 전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교수가 NLP센터 자문교수로 합류했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는 "아날로그 시대가 프로그래밍 기반의 디지털 시대로 전환됐듯, 이제는 AI가 데이터를 학습하는 '러닝(Learning)'의 시대로 바뀌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엔씨소프트는 지난달 22일과 23일 개최한 'NCSOFT AI DAY 2018'에서 엔씨소프트 임직원 약 200여명과 산학협력 관계에 있는 국내 대학원 교수, 석·박사 과정 학생 100여명에게 연구개발 현황을 공유했다.

윤진원 엔씨소프트 글로벌커뮤니케이션실 실장은 "엔씨소프트는 AI 기술을 통해 더 재미있고, 더 사용하기 편하고, 더 가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고객에게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그간 축적한 연구 현황을 회사 내부뿐만 아니라 학계 등의 외부에도 지속적으로 공유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