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제개편 발효 등의 영향으로 당분간 미국 경제가 호조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다수 나오는 가운데 가상화폐와 회사채가 금융 불균형을 초래하면서 미국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블룸버그통신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골드먼삭스의 이코노미스트인 얀 하츠우스는 '2018년의 10가지 질문'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역사적 기준으로 볼 때 회사채 같은 자산 시장에서의 밸류에이션이 높은 수준으로 올랐다"며 "가상화폐 붐은 투기적 행동 중 하나로 간주된다"고 지적했다.
앞서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최고경영자(CEO)는 대표적인 가상화폐인 비트코인을 '튤립 광풍'에 빗대면서 '사기'로 규정했다. 재닛 옐런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도 가상화폐를 두고 '매우 투기적인 자산'이라고 지적했다.
하츠우스의 주장이 이들 의견과 다른 점은 미국 경제가 견조할 것이라는 전제 하에 가상화폐 투자가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부분이다. 앞서 하츠우스는 미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평균 2.6%에 달할 것이며 실업률은 3.5%로 당분간 경제 호조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인플레이션은 현재 1.5%에서 더 가속화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하츠우스는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이 감소하고 주택 가격이 상승하면서 임금 상승에도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며 "감세를 골자로 한 세제개편에도 기대감이 나오고 있지만 자산 밸류에이션 부분을 주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금융 정책의 틀이 기존 양적완화(QE)에서 긴축으로 돌아서면서 전반적인 시장 환경이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츠우스는 연준이 보유 자산 축소 강화 등 추가 긴축 정책을 내놓을 경우 연내 기준금리를 네 차례까지 상향 조정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연준은 세 차례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내비친 상태다.
하츠우스는 "연준 관계자들이 금융 환경의 추가 완화 방침은 적절하지 않다고 보는 것 같다"며 "재정 정책에 대한 추가 상승 여력은 이미 시작됐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