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민선 5·6기 도정 제1의 과제로 추진해 온 3농혁신의 ‘종합 성적표’를 내놨다.
도는 14일 보령 무창포 비채팰리스에서 3농혁신대학 ‘농정거버넌스’ 과정을 열고, 민선 5·6기 3농혁신 추진 성과를 발표했다.
허승욱 도 정무부지사와 3농혁신위원, 농업인단체, 유관 기관·단체 회장 및 임원 등 2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행사는 3농혁신 성과 발표, 행복마을 콘테스트 대상작 공연, 3단계 추진 방향 발표, 유공자 표창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농림어업 지역내총생산(GRDP) 역시 2010년 3조 6600억에서 2015년 4조 6500억 원으로 27.1% 늘어나며 전국 1위를 차지했다.
2015년 전국 8개 도(제주도 제외) 평균 농림어업GRDP는 3조 6700억 원에 머물렀다.
농업법인 및 매출액은 2010년 1080개 1조 5910억 원에서 2015년 2040개 2조 7909억 원으로 급증했다.
축산농가 소득은 2010년 2063억 원에서 2016년 8285억 원으로 4배 이상 증가하고, 같은 기간 임가 소득 역시 2712만 원에서 4747만 원으로, 어가 소득은 3569만 원에서 4707만 원으로 각각 늘었다.
생산혁신 부문은 농업 환경 실천 사업 추진으로 화학비료 사용량이 8.6% 감소하는 등 미래 농산업 대응 및 신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유기농·무농약 인증 면적은 2010년 3923㏊에서 2017년 6월 6200㏊로 인증 면적 증가율 전국 1위를 기록하고, 고품질 삼광벼 재배 면적은 2010년 1만 7450㏊에서 올해 3만 9704㏊로 증가했다.
올해 화학비료(질소질)는 지난해보다 1만 2133톤(8.6%)이 줄며 전국 최고 감축량을 기록했다.
한우 광역브랜드 토바우 1등급 출연율은 지난해 89.1%로 전국 최고 수준을 보였으며, 2012년 이후 딸기 등 8건의 농산물 신품종을 개발하며 5년 동안 75억 원의 로열티를 절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지락과 김, 굴, 해삼 등 4대 명품 수산물 생산량은 2010년 3만 7958톤에서 지난해 5만 5426톤으로 급증하고, 전국 최초 어촌계 진입장벽 완화 시범 사업은 1년새(2015년→2016년) 신규 어촌계원 800명 증가를 불러오며 어촌 공동화와 고령화 해소에 큰 도움이 됐다.
학교급식지원센터 설립 등 유통혁신은 △체계적인 유통시스템 구축 △광역 유통 계열화·체계화 △지역 농산물 소비·안전 먹거리 제공 △소규모 생산자 중심 로컬푸드 체계 구축 △6차산업 기반 확충 등의 성과를 올렸다.
2010년 조직 및 매출액이 ‘0’이던 시·군 통합마케팅은 올해 12개 조직 2400억 원으로 급성장하고, 공동선별·출하 조직과 매출액 역시 2010년 ‘0’에서 지난해 299곳 1935억 원으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도 광역 브랜드인 충남오감은 지난 2014년 출시한 이후 3년 만에 4393농가가 참여하며 올해 550억 원의 매출 달성이 기대되고 있으며, 도 대표 인터넷쇼핑몰인 농사랑 매출액은 113억 원을 기록 중이다.
현재 10개 시·군에 설치한 학교급식지원센터는 안전 먹거리 공급과 친환경 농업 확대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고, 전국 최초로 만든 광역학교급식지원센터는 학교급식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 중이다.
로컬푸드 직매장은 개소 4년 만에 매출액 400억 원을 돌파하며 농산물 지역순환식품체계 기반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
대형유통업체 5곳, 전국 922개 점포를 통해서는 충남 농산물 30개 품목이 판매 중으로, 올해 600억 원 대 매출 기록이 기대되고, 로컬푸드 직거래 장터는 2014년 7곳 5억 원의 매출액이 올해 25곳 30억 원으로 성장했다.
6차산업 경영체는 2011년 856곳에서 지난해 1500곳으로 1만 3200여명의 농촌 일자리를 창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소비혁신은 △농업·농촌의 다원적 기능과 가치에 대한 공감대 확산 △민·관 협업, 지역 자원 연계를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동력 확보 △수요자 중심 농촌 체험 콘텐츠 개발 및 서비스 개선 △농촌체험 명품화·다양화를 위한 체계적인 역량 강화 지원 등의 성과를 거뒀다.
농촌체험휴양마을의 경우 2010년 52개 마을 25만 명 33억 원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129개 마을에 144만 명이 방문해 113억 원의 매출액을 거두며 전국을 선도 중이다.
‘학교 논 만들기’는 올해 전국 112개 학교 16만 4000명의 학생들이 참여해 도시 아이들에게 농업·농촌의 가치를 심어주는 상생 협력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밖에 지역혁신 부문은 △주민 주도 지속가능한 마을만들기 체계 구축 △마을 사업 단계별 체계화 △마을만들기 현장 지원 체계 구축 등을, 역량혁신 부문은 △농업인 중심 민·관 협력 거버넌스 체계 구축 △3농혁신대학 정례화 △3농혁신 현장포럼 개최 △청년 농업인 육성 기반 구축 △전국 최초 도 및 전 시·군 귀농지원센터 운영 등의 성과를 올리 것으로 분석됐다.
허승욱 도 정무부지사는 “도는 인구 감소 및 고령화, 수입 개방, 소득 저하 등 농업·농촌의 현실을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농어업, 살기좋은 농어촌, 행복한 농어업인을 만들어 가기 위해 민선 5·6기 도정 제1의 과제로 3농혁신을 추진해 왔고, 많은 성과를 거뒀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