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한국산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를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또 제외했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문제로 급랭했던 한.중 관계가 최근 해빙기를 맞고 있지만 한국산 배터리에 대한 중국 정부의 보조금 규제는 좀처럼 풀리지 않는 분위기다.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중국 공업신식화부는 전날 제11차 신에너지차(친환경차) 보조금 지급 대상 목록을 발표했다.
보조금 지급 대상 목록에는 총 79개사 165개 중국산 친환경차 모델이 선정됐다. 세부적으로 전기차(EV)는 77개사 152개 모델,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는 4개사 7개 모델, 연료전지차는 4개사 6개 모델 등이 포함됐다.
그러나 이 가운데 삼성SDI, LG화학 등의 한국산 배터리를 탑재한 친환경차는 목록에서 제외됐다. 한국과 중국 정부 간 ‘사드 해빙’ 무드로 인해 관련 업계는 내심 기대를 걸었지만 결국 좌절됐다.
국내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내연기관 브랜드 중 세계적인 브랜드가 없는 중국은 전기차를 국가적으로 키워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패러다임 전환을 노리고 있다”며 “관련 산업인 전기차 배터리도 중국산 위주로 육성하겠다는 의도가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이번 친환경차 보조금 지급 명단에는 한국산 배터리는 물론 일본 등 외국계 배터리 업체 모두 포함되지 않았다.
중국의 한국산 배터리에 대한 제재는 1년 5개월가량 지속돼 왔다. 삼성SDI와 LG화학은 지난해 6월 제4차 전기차 배터리 모범기준 인증에 신청했다가 탈락한 뒤 추가 심사를 준비해 왔으나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계속 제외되고 있다.
앞서 중국 정부는 지난해 12월 29일 전기차 보조금 지급 차량을 발표하면서 한국 업체 배터리 장착 모델 4개 차종을 포함했다가 약 5시간 뒤에 별다른 해명 없이 돌연 제외하면서 사드 보복 의혹을 증폭시킨 바 있다.
또 중국 정부는 올해 1월부터 이달까지 11차례에 걸쳐 217개사 3113개 모델에 대해 보조금 지급을 승인했지만 한국산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은 단 한 번도 포함되지 못했다.
삼성SDI 등 한국 배터리 업계의 고민이 깊어지는 이유다.
중국 시안과 난징에 각각 대규모 배터리 공장을 운영 중인 삼성SDI와 LG화학은 한때 가동률이 10% 수준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SK이노베이션도 올해 초 중국 배터리 생산법인인 베이징 BESK테크놀로지 공장의 가동을 중단했다.
이에 한국 배터리업체들은 중국 현지 생산물량을 다른 나라로 수출하는 고육지책을 쓰고 있다. 또 ESS(에너지저장장치) 생산설비로 전환해 운영하고 있다.
국내 한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중국 정부의 보조금 제재가 1년 넘게 지속되면서 중국 내 완성차 업체들이 한국산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에 대해서 보조금 신청 자체를 포기하고 있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문제로 급랭했던 한.중 관계가 최근 해빙기를 맞고 있지만 한국산 배터리에 대한 중국 정부의 보조금 규제는 좀처럼 풀리지 않는 분위기다.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중국 공업신식화부는 전날 제11차 신에너지차(친환경차) 보조금 지급 대상 목록을 발표했다.
보조금 지급 대상 목록에는 총 79개사 165개 중국산 친환경차 모델이 선정됐다. 세부적으로 전기차(EV)는 77개사 152개 모델,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는 4개사 7개 모델, 연료전지차는 4개사 6개 모델 등이 포함됐다.
국내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내연기관 브랜드 중 세계적인 브랜드가 없는 중국은 전기차를 국가적으로 키워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패러다임 전환을 노리고 있다”며 “관련 산업인 전기차 배터리도 중국산 위주로 육성하겠다는 의도가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이번 친환경차 보조금 지급 명단에는 한국산 배터리는 물론 일본 등 외국계 배터리 업체 모두 포함되지 않았다.
중국의 한국산 배터리에 대한 제재는 1년 5개월가량 지속돼 왔다. 삼성SDI와 LG화학은 지난해 6월 제4차 전기차 배터리 모범기준 인증에 신청했다가 탈락한 뒤 추가 심사를 준비해 왔으나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계속 제외되고 있다.
앞서 중국 정부는 지난해 12월 29일 전기차 보조금 지급 차량을 발표하면서 한국 업체 배터리 장착 모델 4개 차종을 포함했다가 약 5시간 뒤에 별다른 해명 없이 돌연 제외하면서 사드 보복 의혹을 증폭시킨 바 있다.
또 중국 정부는 올해 1월부터 이달까지 11차례에 걸쳐 217개사 3113개 모델에 대해 보조금 지급을 승인했지만 한국산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은 단 한 번도 포함되지 못했다.
삼성SDI 등 한국 배터리 업계의 고민이 깊어지는 이유다.
중국 시안과 난징에 각각 대규모 배터리 공장을 운영 중인 삼성SDI와 LG화학은 한때 가동률이 10% 수준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SK이노베이션도 올해 초 중국 배터리 생산법인인 베이징 BESK테크놀로지 공장의 가동을 중단했다.
이에 한국 배터리업체들은 중국 현지 생산물량을 다른 나라로 수출하는 고육지책을 쓰고 있다. 또 ESS(에너지저장장치) 생산설비로 전환해 운영하고 있다.
국내 한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중국 정부의 보조금 제재가 1년 넘게 지속되면서 중국 내 완성차 업체들이 한국산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에 대해서 보조금 신청 자체를 포기하고 있는 분위기”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