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정보기술(IT),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기반기술의 발전과 융·복합에 따른 가파른 성장이 예상되는 무인항공기 산업은 세계 각국에서 미래 산업으로 주목하는 신산업의 대표 분야다"
드론(Drone)은 벌 소리를 내며 날아다니는 작은 무인항공기의 모습을 보고 붙여진 이름으로, 멀티콥터가 일반인에게 소개되면서 방송사에서 촬영용 드론이라 불러 유행을 타게 됐다.
최근 공중촬영과 택배 드론 등 IT 융합을 통한 드론시장의 급성장으로 일반인에게 저변이 확대됨에 따라, 대부분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를 통칭하거나 무인항공기의 별칭으로 사용하고 있다.
올해 제정된 국가표준은 무인항공기를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원격 또는 자동으로 조종 및 통제되는 항공기'로 정의하고 있다.
항공드론은 지형정보·운송 등 적용 분야 확대 및 민간수요 급증과 함께 지정학적 접근이 어려운 지역의 연결망 구축에 도움을 준다.
또 농·수산업 등 노동력이 부족한 산업의 노동력 대체, 환경오염·재난방지·구호 등 사회적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의 고도화가 이뤄지는 상황이다.
다만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아 다양한 국가에서 무인항공기 개발을 진행하고 있어 급격히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제조 진영에서 기업별 강점을 기반으로 산업 생태계를 주도하고 있다.
해외 무인항공기 시장규모는 통상 10년간 2배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015년 52억 달러에서 2024년 116억 달러로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의 경우 군사용을 중심으로 증가 추세이며 연평균 22% 급성장, 2013년 1000억원에서 2022년에 5500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최근 3년간 국내 무인기 신고 대수는 3배(238→716대), 등록업체는 5배(116→582개), 조종자증명 취득자는 13배(64→850명)로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다.
무인기 산업은 군수용에서 미디어 취재를 위한 촬영, 물건 배송 등 소비자 시장으로 확장되고 있다.
무인기의 민간부문 활용 가능성이 확대돼 미국에서는 2014년부터 민간 무인기시장이 빠르게 성장세를 보이며, 글로벌 기업의 무인기시장 진출이 가시화되고 있다.
실제 구글은 지난 2014년 4월 태양전지로 구동되는 드론 개발 업체인 타이탄 에어로스페이스를 인수, 태양광 드론으로 인터넷 보급망을 넓히는 '프로젝트 타이탄'을 진행 중이다.
페이스북 역시 2014년 영국의 어센타(Ascenta)를 5억2000만 달러에 인수하며 무인기 산업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국내 무인기 시장 역시 해외와 비슷하게 방산업체 및 항공사들이 생산을 주도하고 있으며, 선도적인 핵심원천기술을 기반으로 군용뿐 아니라 택배용, 구호물품 수송용 등으로 시장을 확장하는 양상이다.
대한항공과 한국항공우주산업, 한화 등 항공 및 방산업체를 중심으로 연구개발(R&D)을 통한 신기술 개발과 제품 생산을 진행하고 항공우주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의 무인항공기 핵심 기술 개발이 추진 중이다. 또한, 완구용 비행로봇 등을 생산하는 중·소형 업체의 시장진출도 확대되고 있다.
산업기술진흥원은 "주요 선진국은 정부주도로 장기적인 기술개발지원과 함께 규제를 정비하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며 "무인항공기뿐만 아니라 무인 이동체 분야와의 연계를 통해 공통 요소부품 핵심 기술을 개발을 공유,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극복 및 가격, 기술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군사용 무인항공기 개발 경험·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기술개발 인프라 확대, ICT 기업과의 연계를 통한 생태계 조성 및 확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드론(Drone)은 벌 소리를 내며 날아다니는 작은 무인항공기의 모습을 보고 붙여진 이름으로, 멀티콥터가 일반인에게 소개되면서 방송사에서 촬영용 드론이라 불러 유행을 타게 됐다.
최근 공중촬영과 택배 드론 등 IT 융합을 통한 드론시장의 급성장으로 일반인에게 저변이 확대됨에 따라, 대부분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를 통칭하거나 무인항공기의 별칭으로 사용하고 있다.
올해 제정된 국가표준은 무인항공기를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원격 또는 자동으로 조종 및 통제되는 항공기'로 정의하고 있다.
또 농·수산업 등 노동력이 부족한 산업의 노동력 대체, 환경오염·재난방지·구호 등 사회적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의 고도화가 이뤄지는 상황이다.
다만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아 다양한 국가에서 무인항공기 개발을 진행하고 있어 급격히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제조 진영에서 기업별 강점을 기반으로 산업 생태계를 주도하고 있다.
해외 무인항공기 시장규모는 통상 10년간 2배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015년 52억 달러에서 2024년 116억 달러로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의 경우 군사용을 중심으로 증가 추세이며 연평균 22% 급성장, 2013년 1000억원에서 2022년에 5500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최근 3년간 국내 무인기 신고 대수는 3배(238→716대), 등록업체는 5배(116→582개), 조종자증명 취득자는 13배(64→850명)로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다.
무인기 산업은 군수용에서 미디어 취재를 위한 촬영, 물건 배송 등 소비자 시장으로 확장되고 있다.
무인기의 민간부문 활용 가능성이 확대돼 미국에서는 2014년부터 민간 무인기시장이 빠르게 성장세를 보이며, 글로벌 기업의 무인기시장 진출이 가시화되고 있다.
실제 구글은 지난 2014년 4월 태양전지로 구동되는 드론 개발 업체인 타이탄 에어로스페이스를 인수, 태양광 드론으로 인터넷 보급망을 넓히는 '프로젝트 타이탄'을 진행 중이다.
페이스북 역시 2014년 영국의 어센타(Ascenta)를 5억2000만 달러에 인수하며 무인기 산업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국내 무인기 시장 역시 해외와 비슷하게 방산업체 및 항공사들이 생산을 주도하고 있으며, 선도적인 핵심원천기술을 기반으로 군용뿐 아니라 택배용, 구호물품 수송용 등으로 시장을 확장하는 양상이다.
대한항공과 한국항공우주산업, 한화 등 항공 및 방산업체를 중심으로 연구개발(R&D)을 통한 신기술 개발과 제품 생산을 진행하고 항공우주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의 무인항공기 핵심 기술 개발이 추진 중이다. 또한, 완구용 비행로봇 등을 생산하는 중·소형 업체의 시장진출도 확대되고 있다.
산업기술진흥원은 "주요 선진국은 정부주도로 장기적인 기술개발지원과 함께 규제를 정비하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며 "무인항공기뿐만 아니라 무인 이동체 분야와의 연계를 통해 공통 요소부품 핵심 기술을 개발을 공유,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극복 및 가격, 기술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군사용 무인항공기 개발 경험·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기술개발 인프라 확대, ICT 기업과의 연계를 통한 생태계 조성 및 확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