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 한미 양국이 경북 성주의 새로운 대지에 사드를 배치하는 데 합의하면서 시작된 중국 정부의 보복은 올해 3월 '한국 단체관광 전면 금지령'이라는 노골적 보복으로 이어지며 관광산업의 근간을 흔들었다.
2016년 우리나라를 찾은 중국인관광객 수는 806만7722명으로, 1000만명에 육박했지만 중국 정부의 금한령이 이어진 올해 4월부터 9월(10월 집계치 미확정)까지 방한한 중국인관광객 수는 200만명이 채 되지 않는 167만5433명에 그쳤다.
이로 인해 관광 분야에서 입은 직접적 손실만도 8조8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방한 관광 시장 다변화 정책을 통해 유커(遊客·중국인 단체관광객)의 빈자리를 동남아와 일본, 무슬림관광객, 개별관광객 등에서 채우기 위해 노력했고 내수 진작을 위해 국내 관광 활성화 정책에도 힘을 쏟았지만 큰 손 유커의 공백을 채우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렇게 큰 위기를 겪던 우리나라 관광산업은 한중 양국이 정치 사회 경제 등 모든 분야의 교류 협력을 정상 궤도로 회복시키겠다는 내용의 합의를 하면서 비로소 서광이 비치기 시작했다.
한파가 몰아치던 관광업계에는 모처럼 훈풍이 불었고 '유커의 귀한'이라는 기대감에 한껏 들떴다. 주가 역시 대폭 상승했다.
그동안 유커에 의존하면서 정작 양적 성장 위주의 구태를 벗지 못하고 저가 관광객 유치에만 열을 올렸던 정부는 사드 보복으로 인한 큰 타격을 입은 후인 올해 초 방한 관광시장 다변화·내국인 국내 여행 유도 등 관광 활성화 방안(개선)책을 내놓았다.
양국 합의가 이뤄진 날로부터 며칠 뒤에는 '방한 관광시장 활성화' 정책도 발표했다.
▲동남아 3개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 한시적 허용▲유커 전자비자 발급수수료 감면혜택 기간 연장▲특수어권 가이드 확충▲고품격 관광상품 개발 등을 골자로 했다.
8조원 넘는 막대한 손실의 대가에 비해 부족하기 짝이 없는 대책이었다.
전문가들은 "관광산업은 경제의 바탕이 되는 중요한 분야이지만 국가의 역학관계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 약한 분야이기도 하다"며 "관광산업이 국가 위기에도 흔들림 없이 지속 성장하려면 체질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관광산업이 국가 위기로 인해 직격탄을 받는 일이 없도록 관광산업의 체질 개선 노력은 꾸준히, 철저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훈 한양대 교수는 "중국인 관광객의 가변성과 북핵을 둘러싼 안보위기 등으로 관광업계도 변화와 혁신의 필요성을 느꼈음에도 정부의 정책은 식상하기만 했다"며 "국내 관광산업에 어려움을 주는 외부 상황은 언제든 다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중국인 관광객 증가에 대비하면서도 시장 다변화 등의 체질개선 노력은 계속돼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