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 문화와 속도
문명과 문화는 같은 것인가 다른 것인가. 답하기 쉽지 않다. 영어나 프랑스어에서는 문명(civilisation)과 문화(culture)의 의미가 비슷하다. 둘 다 인간이 자연상태에서 벗어나 물질적으로 그리고 정신적으로 진보한 상태를 뜻한다. 프랑스 문명과 프랑스 문화, 서구 문명과 서구 문화는 의미상 별 차이가 없다. 하지만 독일어는 좀 다르다. 문명(Zivilisation)은 기계·건축물 등 물질적인 진보를, 문화(Kultur)는 형이상학적인 가치관·사상·종교·학문 등 정신적인 부분을 가리키므로 다른 개념이다. 우리말은 영어나 프랑스어의 의미와 독일어의 의미를 동시에 수용하고 있다. 넓은 의미에서의 문화는 문명을 포함하는 총체이고, 좁은 의미에서의 문화는 독일어의 뉘앙스를 갖는다. 그래서 기술문명이라는 말은 있어도 기술문화라 말하지 않고, 정신문화라는 말은 있지만 정신문명이라는 말은 쓰지 않는다. 국어사전에 찾아 보면, 문명에 대해 "인류가 이룩한 물질적·기술적·사회구조적인 발전, 자연 그대로의 원시적 생활에 상대하여 발전되고 세련된 삶의 양태를 뜻한다. 흔히 문화를 정신적·지적인 발전으로, 문명을 물질적·기술적인 발전으로 구별하기도 하나 그리 엄밀히 구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돼 있다.
영국의 역사학자 아널드 토인비는 인간의 역사는 ‘도전과 응전의 역사’라고 말했다. 가혹한 자연환경이나 끊임없는 혼란과 위협, 침입 등에 대한 응전에 성공하면 계속 존속·발전할 수 있고 실패하면 소멸한다는 것이다. 인간은 도전을 맞아 응전하는 존재다. 과학기술과 문명은 도전과 응전의 과정을 거치면서 역사적으로 발전해 온 것이다. 문명의 이기는 인간에게 편리함이나 안전 등의 편익을 주며 어느 정도 행복감도 가져다 주지만 때로는 부작용을 동반하기도 한다. 석기시대보다는 철기시대가 편리하고 철기시대보다는 오늘날이 훨씬 편리하다. 하지만 과학연구와 기술개발로 새로운 문명의 이기가 추가될 때마다 새로운 위험들이 하나 둘씩 나타난다. 핵은 청정에너지이고 에너지 효율이 매우 높지만 방사능이라는 가공할 위험을 동반하고, 노벨이 발명한 폭탄은 채굴 및 발파에 도움을 주었지만 전쟁무기로 사용될 수 있는 위험을 낳았다. 오늘날 우리가 매일매일 사용하는 스마트폰은 언제 어디서나 다른 사람들과 연결시켜주고 소통할 수 있게 해주는 편리한 기계지만 대신 해킹의 위험, 사생활 침해의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문명은 우리의 업무속도, 이동속도, 연결속도를 빠르게 해준다. 계산기, 컴퓨터, 디지털공작기기 덕분에 사람들은 더 빠르고 정확하게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자동차, 비행기, 전철 등 교통수단은 우리를 더 빨리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 중 하나로 손꼽히는 5세대 이동통신(5G)은 4G보다 20배 이상 빠르다. ‘더 높이, 더 멀리, 더 빨리’라는 올림픽의 이상은 궁극적으로 과학기술문명이 추구하는 이상과 별로 다르지 않다.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힘든 노동은 기계로 대체되고 있고 대량화와 자동화를 넘어 이제는 사이버와 물리 세상의 통합을 추구하는 이른바 4차 산업혁명이 진행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되면 인간노동을 대체하는 기계노동은 점점 늘어날 것이다. 기계노동이 늘어나면 인간의 노동시간은 줄어들고 여유시간은 늘어날 수밖에 없다. 노동시간을 줄여주고 업무속도를 높이는 것은 과학기술 기반의 문명이다. 이렇게 해서 늘어난 여가시간을 사람들은 더욱더 여유롭게 사용하고 싶어 할 것이다. 망중한을 즐기고 천천히 음미하면서 음식을 먹고 여유 있게 거닐고 즐기는 것은 문화생활이다. 삶의 속도를 빠르게 해주는 것이 문명이라면, 오히려 이를 천천히 이완시켜주는 것은 문화라고 할 수 있다. 단 3분 만에 사진을 찍고 인화할 수 있는 즉석사진은 문명이고, 산과 들을 찾아다니며 명장면을 포착해 멋진 사진 단 몇 장을 건지려고 여유 있게 기다리는 것은 문화다. 여유를 추구하는 슬로푸드, 슬로라이프도 삶을 즐기는 인간의 문화다. 속도는 문명과 문화를 구분하는 척도가 돼가고 있다. 산업화시대의 슬로건이 ‘빨리빨리’였다면, 문화의 시대가 될 미래에는 아마도 ‘천천히 느리게’ 사는 삶에 더 관심을 기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