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갑작스레 ‘스마트 시티(Smart City)’가 핵심 키워드로 떠올랐습니다. 바로 문재인 정부가 지난달 29일 스마트 시티를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국가 선도사업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죠.
문 대통령은 국토교통부를 중심으로 스마트 시티와 관련된 정부 역량을 최대한 모을 것을 주문했습니다. 무엇보다 기존 도시의 경우 스마트 기술을 도입하고, 신도시에는 시범사업을 실시하겠다는 투 트랙을 제시하기도 했죠.
스마트 시티는 말 그대로 ‘똑똑한 도시’라는 뜻입니다. 주거공간, 상업·업무공간, 공공기관, 산업단지, 각종 편의시설 등을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네트워크화한 도시 정도로 이해할 수 있죠.
약 5년 전까지만 해도 국내에서는 ‘유비쿼터스 도시(Ubiquitous City)’나 ‘유 시티(U City)’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유비쿼터스라는 단어가 ‘어디에나 있다’는 뜻으로 시민이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도시라는 점에서 유 시티로 명명됐는데, 현재는 스마트 시티로 통칭되고 있죠.
스마트 시티는 유비쿼터스 시티에 비해 발음이 더 쉽고, 도시 개념의 의미전달도 보다 직관적입니다. 스마트라는 단어가 최근 사회 전반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점도 명칭이 바뀌는 데 일조했겠지요. 엄밀히 스마트 시티는 유 시티에 사물인터넷(IoT) 및 인공지능(AI)이 결합된 개념이라 의미가 미묘하게 다르긴 합니다만.
아무튼 스마트 시티는 도시 전체의 경쟁력을 높이고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통한 국가 발전 도모를 위해 등장한 개념의 도시입니다.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IT)을 도시의 주요 기반시설에 결합시키는 협의적 개념부터 도시정책, 도시문화, 도시재생, 도시문제 등의 패러다임 전환까지 광범위하게 다루고 있는 것이 바로 이 스마트 시티인 것이죠.
현재 신도시는 물론 서울 및 수도권 내 기존 도시의 경우 과대·과밀화로 인해 도시 경쟁력이 점차 떨어지는 추세에 있어 스마트 시티 도입이 어느 때보다도 절실한 상황입니다.
이 가운데 문재인 정부가 다양한 분야의 기술수준과 도시의 유형 및 단계별 특성을 살린 접근전략을 세우겠다는 것은 스마트 시티가 IT 중심의 협의적 개념에 매몰되기보다는 본연의 기능 및 미래도시 창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신호로 보입니다.
물론 정부가 스마트 시티의 본질인 도시 경쟁력 제고와 삶의 질 향상을 늘 전제해야 국가적 차원의 신성장 동력 플랫폼을 조성할 수 있겠죠. 어쩌면 이번 정권 내에 해결이 안 될 수도 있지만 국가 경제를 선도하는 사안이라는 점에서, 스마트 시티 사업이 장기적인 호흡에서 꼭 성공적으로 추진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